‘원조’ 독종, 악바리, 철인…김인식이 만든 연천의 기적 “열심히 하면 됩니다”[이헌재의 인생홈런]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10월 5일 10시 00분


코멘트
김인식 독립리그 연천 미라클 감독이 10주년 기념 스티터가 박힌 티셔츠를 들어보이고 있다. 연천 미라클 창단 감사령탑인 김 감독은 연천에서 기적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헌재 기자
프로야구엔 ‘악바리’나 ‘독종’이란 별명을 가진 선수들이 종종 나온다. 그중 원조 악바리를 꼽으라고 하면 누구나 떠오르는 이름이 있다. 한국프로야구 제1호 몸에 맞는 공의 주인공인 김인식 연천 미라클 감독(72)이다. ‘국민 감독’으로 불리는 김인식 전 한국 야구 대표팀 감독(78)과는 동명이인이다.

까무잡잡한 피부에 작은 체구로 ‘베트콩’으로도 김인식은 승부욕이 남다른 선수였다. 키가 168cm 밖에 되지 않았던 그는 홈런 타자가 아니었다. 대신 공을 몸에 맞고서라도 출루하고자 하는 ‘악’과 ‘깡’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스스로 “나야 뭐 치사하게 ‘데드볼’이나 맞고 출루하려고 했던 선수였을 뿐”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상대 배터리의 입장에서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김인식 연천 미라클 감독이 MBC 청룡 선수 시절 심판에게 ‘배치기’ 항의를 하고 있다. 동아일보 DB
김인식 연천 미라클 감독이 MBC 청룡 선수 시절 심판에게 ‘배치기’ 항의를 하고 있다. 동아일보 DB

LG 2군 감독 시절의 김인식 감독. 동아일보 DB
LG 2군 감독 시절의 김인식 감독. 동아일보 DB

그는 날아오는 공을 무서워하지 않았다. 항상 타석에 바짝 붙어섰다. 조금이라도 공이 몸쪽으로 들어올라치면 팔이나 몸을 내밀어 일부러 맞았다. 일단 출루한 뒤에는 빠른 발을 앞세워 수비진을 흔들었다. 1루 나간 뒤 2루를 향해 뛸 듯 말 듯 하는 모습은 그의 트레이드마크였다.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 그는 18차례의 사구(死球)를 기록했다. 이듬해인 1983년에는 13번 몸에 맞는 공으로 출루했다.

그리고 1984년 어느 날 한국 야구사에 지금도 깨지지 않는 기록이 하나 나온다. 바로 3연타석 몸에 맞는 공이다. 주연은 김인식, 조연은 재일교포 투수 고 장명부(삼미)였다. 제구력이 좋았던 장명부는 잠실 경기에서 두 번 연속 김인식을 맞혔다. 그리고 다음 인천 경기 첫 타석부터 다시 몸에 맞는 공을 던졌다. 김인식도 참지 않았다. 씩씩거리며 마운드를 향해 달려갔다. 여느 때 같으면 벤치클리어링이 벌어질 만도 했지만 양 팀 벤치의 그 누구도 움직이지 않았다.
김인식은 장명부의 허리띠를 잡고 당겼다. 하지만 덩치가 산만 했던 장명부는 꿈쩍도 하지 않고 가만히 내려다볼 뿐이었다. 김인식이 1루로 돌아갔을 때 장명부는 김인식을 향해 한쪽 눈을 찡긋 감으며 윙크를 했다. “일부러 빈볼을 던졌다”는 표현이었다. 김 감독은 “홈런도 못 치는 내가 할 수 있는 게 뭐 있겠나. 팀을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출루하자는 생각이었다. 그렇다고 아무 공에나 맞으면 안 된다. 빠른 공을 피하고 이왕이면 변화구에 맞고 나가려 했다”며 웃었다.

김인식 연천 마리클 감독과 노찬엽 수석코치. LG 트윈스에서 한솥밥을 먹었던 두 사람은 연천에서도 호흡을 맞추고 있다. 이헌재 기자

MBC 청룡에 입단하기 전 그는 실업야구 롯데제과에 몸담았다. 당시 일본에서 수비코치가 왔는데 그는 하루에 펑고를 500개씩 받았다. 김인식은 “도이 상으로 기억한다. 도이 코치로부터 수비 훈련을 집중적으로 받은 후부터 힘과 기술이 몰라보게 좋아졌다. 거칠었던 플레이가 부드러워지면서 1976년에 국가대표로도 뽑혔다. 그리고 그해 콜롬비아 세계선수권대회에 나갈 수 있었다”고 했다.
악착같은 노력도 한몫했다. 평소 그는 발과 하체 힘을 키우기 위해 운동화 대신 군화를 신고 다녔다. 그 모습을 본 일본인 코치는 “내가 만난 사람 중 가장 독종”이라고 평했다.

프로 입단 후에도 그는 최선을 다했다. 몸을 아끼지 않는 허슬플레이를 펼치면서도 원년 개막전을 시작으로 6년간 606경기 연속 출장 기록을 세웠다. 이후 최태원 등에 의해 이 기록은 깨졌지만 프로야구의 원조 철인(鐵人)을 논할 때 그의 이름이 빠지지 않는 이유다.
고비도 적지 않았다. 내야수였던 그는 해태와의 경기 도중 김성한이 친 땅볼을 잡다가 오른쪽 엄지손가락이 완전히 꺾인 적이 있다. 그는 그 경기를 마지막까지 소화한 뒤 병원으로 갔다. 김인식은 “어떤 날은 피가 흐르는데도 경기를 계속한 적도 있다. 1루로 송구할 때 피가 1루까지 날아가곤 했다”고 회상했다.

김인식 연천 미라클 감독이 선수들과 하이파이브를 하고 있다. 동아일보 DB

김인식 감독은 감독이면서도 매 경기 주루코치로 3루에 나간다. 연천 미라클 제공

무슨 일에든 최선을 다하는 자세와 야구에 대한 열정은 지도자가 된 이후에도 변하지 않았다. 1988년 선수 은퇴 후 그는 LG 2군 코치와 감독, 1군 수석코치 등을 두루 거쳤다. 2006년 LG 2군 감독을 끝으로 프로를 떠난 뒤에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는 충훈고 감독을 맡았다. 당시 신생팀이던 충훈고는 재정적으로 풍족하지 못했다. 선수단 버스를 운전할 기사 월급을 주는 게 여의치 않자 그는 1종 대형면허를 취득한 후 직접 선수단 버스를 몰았다.

그가 지도자로서 제2의 인생을 바치고 있는 곳은 2015년 창단한 독립구단 연천 미라클이다. 독립구단은 프로 지명을 받지 못했거나, 마지막으로 프로 도전을 목표로 하는 선수들이 모이는 곳이다.
11년째 지휘봉을 잡고 있는 그는 여전히 선수들과 함께 호흡한다. 경기 때는 더그아웃에 앉아 있지 않고 헬멧을 쓰고 3루 주루코치로 나간다. 김인식은 “야구를 하다가 아픔을 겪은 선수들에게는 재기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우연한 기회에 팀을 맡았는데 여기까지 오게 됐다”고 말했다.

충훈고 감독 시절 열정적으로 선수들을 지도하고 있는 김인식 감독의 모습. 동아일보 DB
충훈고 감독 시절 열정적으로 선수들을 지도하고 있는 김인식 감독의 모습. 동아일보 DB

한때 열악하기 그리 없던 독립리그지만 지금은 KBO리그로부터 점점 관심을 받고 있다. 팀 이름 미라클(기적)처럼 독립리그를 거쳐 프로야구에 진출하는 선수들이 한두 명씩 나오기 시작하면서부터다.

연천에서 함께 땀을 흘렸던 손호영(롯데), 황영묵(한화), 박영빈(NC) 등은 어엿한 주전 선수로 1군 무대를 소화했다. 올해 롯데의 새 별로 떠오른 박찬형도 연천 미라클에서 2년간 함께 했다. 김인식 감독은 “손호영처럼 독립리그를 통해 뒤늦게 꽃을 피우는 선수들이 나오면서 이제는 프로 10개 구단 스카우트들이 종종 선수들을 보러 온다”라며 “프로의 관심 속에 선수들도 꿈과 희망을 갖고 더 열심히 하고 있다. 우리 독립리그가 프로야구의 3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19년 발병한 위암도 야구로 극복했다. 암세포를 조기 발견해 수술을 받은 후 다시 야구장에서 젊은 선수들과 땀을 흘렸다.
그는 요즘도 오전 5시 반이면 일어나 타격 연습이 필요한 선수들과 함께 운동장으로 향한다. 70살이 훌쩍 넘은 나이에도 배팅볼도 250~300개씩 던져 준다. 수시로 펑고도 친다. 김인식은 “젊은 선수들과 함께 호흡하는 게 나한테도 큰 도움이 된다. 3루 주루코치로 나가고, 배팅볼도 던지면 선수들이 더 집중한다“고 말했다.

김인식 연천 미라클 감독이 선수단 버스 앞에 섰다. 연천 초창기 그는 손수 선수단 미니버스를 몰기도 했다. 이헌재 기자

연천 미라클의 연고지인 경기 연천군은 크게 유명할 게 없는 지자체였다. 하지만 연천 미라클의 선전 속에 야구 도시로서의 명성을 차곡차곡 쌓아가고 있다. 연천군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연천 미라클은 2025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에서 우승하며 4년 연속 챔피언에 올랐다. 김 감독은 “연천군의 적극적인 지원이 없었다면 이 자리까지 올라오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가 열심히 하는 만큼 모든 분들이 정말 열심히 도와주신다”라며 “야구를 시작한 날부터 지금까지 열심히 최선을 다해 살았다. 지금까지 그라운드에 설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감사한 일이다. 몸이 버티는 데까지 후배들과 야구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식#인생홈런#프로야구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