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아트 인 뉴욕 〈1〉 ‘아르떼뮤지엄’ 맨해튼 전시관 개장
전세계 1000만 관객 ‘아르떼뮤지엄’… 허드슨 강변에 4800㎡ 규모 조성
폭포-꽃 등 ‘영원한 자연’ 주제 전시… “해외관객들 십장생 등 ‘동양적’ 선호
‘몽유도원도’ 접목해 한국작품 알려
미국 뉴욕 맨해튼에 최근 개관한 몰입형 미디어 디자인 전시관 ‘아르떼뮤지엄 뉴욕’ 입구. 디스트릭트 제공
25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의 맨해튼 서부.
허드슨 강변의 여객선 터미널을 리노베이션한 스포츠·엔터테인먼트 복합 단지 ‘첼시 피어’ 전시장에 들어서자 벽면을 가득 채운 바닷물이 쏟아질 듯 거센 파도를 일으켰다. 빔 프로젝터 영상이지만, 높은 화질과 정교한 컴퓨터그래픽(CG) 덕에 진짜 바다보다 더 실감 나게 다가왔다. 또 다른 전시장에선 벽면에 화려한 꽃들이 가득했고, 관객의 발자국을 따라 꽃잎이 흩날리기도 했다.
한국 특유의 감각과 고도의 기술을 살린 몰입형 디자인 전시 브랜드 ‘아르떼뮤지엄’이 뉴욕에 진출했다. 중국 홍콩과 청두(成都), 미 라스베이거스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를 거쳐 이뤄낸 성과. 개관 기념 행사가 열린 이날 현장은 ‘K아트’의 또 다른 도약을 기대할 만한 자리였다.
● 뉴욕 마천루와 한국 민화의 만남
한국 기업 디스트릭트가 최근 미국 뉴욕에서 문을 연 몰입형 미디어 디자인 전시관 ‘아르떼뮤지엄 뉴욕’에서 ❶스타스(별) ❷워터폴(폭포) ❸가든(정원) 등의 주제로 전시가 진행되고 있다. ‘가든’에서 재생 중인 건 안견의 몽유도원도다. 디스트릭트 제공 아르떼뮤지엄은 강원 강릉과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만큼 사랑받는 콘텐츠다. 이날 뉴욕 전시장에선 폭포와 꽃, 해변, 파도, 숲 등 아르떼뮤지엄 대표 테마인 ‘영원한 자연’을 주제로 한 콘텐츠 16점이 펼쳐졌다. ‘꽃’ 전시장은 무궁화 씨앗의 생애에 관한 영상과 관객 움직임에 따라 영상이 변하는 인터랙티브 요소가 추가됐다. 마지막 전시장 ‘가든’에선 뉴욕의 대표적인 풍경과 한국의 산수화, 민화 등 전통문화를 결합한 ‘뉴욕 이즈 아트(Newyork is Art)’ 영상이 상영됐다.
아르떼뮤지엄을 운영하는 ‘디스트릭트’ 부사장이자 콘텐츠 총괄 기획자인 이상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영향인지 현지 관객들이 십장생 등 동양적 요소를 좋아해 적극 활용했다”며 “안견의 몽유도원도도 삽입했는데, 이 그림이 일본에 있지만 한국의 작품임을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약 4800㎡ 규모인 아르떼뮤지엄 뉴욕은 2023년 개관한 ‘아르떼뮤지엄 라스베이거스’의 약 2배 크기. 주변엔 각종 운동이 가능한 대규모 시설도 있어 주말을 즐기는 가족이나 관광객이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전시장을 찾은 관객들은 특히 ‘꽃’과 ‘정원’에 큰 관심을 보였다.
● ‘누적 관객 천만’ K아트의 도전
뉴욕 진출은 야망 있는 문화 콘텐츠 제작자라면 누구나 한번쯤 꿈꿔보는 일. 디스트릭트는 2011년 세계 최초로 실내 4D 테마파크인 ‘라이브 파크’를 만들었고, 2020년 서울 코엑스 대형 전광판에서 상영한 ‘웨이브(WAVE)’로 주목받았다. 같은 해 제주에 ‘아르떼뮤지엄’을 개관했는데, 이때부터 뉴욕 진출을 꿈꿨다고 한다.
이 회사는 2021년 뉴욕 원타임스스퀘어 외부 벽면에 높이 102.5m의 초대형 전광판을 이용한 ‘Waterfall(워터폴)―NYC’를 상영하기도 했다. 디스트릭트 제공“2021년 뉴욕 ‘원 타임스 스퀘어’ 전광판 운영사의 초청을 받아 ‘워터폴 NYC’를 선보였을 때 반응이 뜨거워, 그때부터 전시장 개관을 맘먹었습니다. 하지만 팬데믹에다 개관 절차나 규제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5년이나 걸렸지만 무척 자랑스럽습니다.”(이 부사장)
세계 곳곳에 포진한 아르떼뮤지엄을 찾은 전체 누적 관객은 지난달 기준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특히 2023년 선보인 라스베이거스 지점이 가장 큰 매출을 냈다고 한다. 입장료가 한국보다 3배가량 높지만, 지난해 연매출이 2059만 달러(약 290억 원)로 디스트릭트 전체 매출의 35%를 차지할 정도다. 올해도 하루 평균 방문객이 1485명으로 지난해보다 40% 늘었다. 디스트릭트 측은 “한국 전시장의 경우 개관 후 몇 년이 지나면 관객이 다소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지만, 미국은 해외에서 오는 관광객이 꾸준히 유입되는 특징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19일 정식 개관한 아르떼뮤지엄 뉴욕은 앞으로 10년 동안 이 공간에서 상설 전시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 부사장은 “어제 전시를 보러 온 한 미국 할머니가 우리를 붙잡고 ‘정말 감동받았다. 이런 전시는 처음이다’고 말해 놀랐다”며 “한국의 뛰어난 몰입형 미디어 콘텐츠를 보여줘 하나의 ‘문화 브랜드’로 성장할 계기를 뉴욕에서 만들고 싶다”고 다짐했다.
쉽고 강렬하게… 대중을 파고든다
한국형 ‘몰입형 미디어’ 생존법 “글로벌 팬덤 공략한 K팝처럼 쉬운 주제에 디지털기술 활용”
‘이해하기 어려운 철학적 해석이나 긴 설명은 가급적 자제하고, 피부로 와닿는 감각을 제대로 느끼게 한다.’
한국 관객의 적극적인 반응을 바탕으로 업그레이드를 거듭해온 디스트릭트의 콘텐츠를 보면 K아트 역시 최근 세계에서 사랑받는 K컬처가 지닌 공통적인 특징을 지녔음을 알 수 있다. 화려한 비주얼과 귀에 꽂히는 음악으로 글로벌 팬덤을 공략한 K팝처럼 ‘아르떼뮤지엄’ 역시 대중의 취향을 철저히 공략한다.
이를테면 ‘꽃’ 전시장은 꽃의 줄기나 뿌리 같은 복잡한 요소는 없애고 화려한 꽃잎이 흐드러진 모습만 강조했다. ‘폭포’ 전시장도 원래 폭포 옆에 있을 바위나 흙은 모두 지우고 시원하게 떨어지는 물줄기의 힘찬 모습만 화면에 가득 채웠다. 여기에 영화 ‘부산행’, ‘놈놈놈’, ‘도둑들’ 등 100여 편의 영화에서 음악을 작업한 베테랑 음악 감독 장영규가 사운드를 만들었다. 전시장에선 프랑스 조향사가 만든 향도 맡을 수 있다.
‘자연’을 주제로 삼은 것도 전략적인 선택이다. 바다와 파도, 해, 달, 별 같은 자연 속 요소들은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이런 영상들이 주는 강렬하면서도 공감이 큰 느낌을 고도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구현하는 게 아르떼뮤지엄의 강점이다.
이상진 디스트릭트 부사장은 “회오리바람을 경험할 수 있는 ‘토네이도’는 바람을 일으키기 위해 다양한 기물을 활용하는 과학 체험관과 달리, 전시장 안에 오로지 수증기와 공기의 흐름만이 보이도록 고심했다”며 “디자이너와 기술자, 개발자 등 다양한 직군의 제작자들이 아이디어부터 제작까지 함께 난상 토론 과정을 거쳐서 내놓은 산물”이라고 말했다.
특히 디스트릭트는 이번 뉴욕 진출이 2012년 세상을 떠난 최은석 전 대표가 탄탄하게 밑바탕을 다진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사장은 “최 전 대표는 콘텐츠의 디테일을 끝까지 밀어붙였다”며 “그의 완벽주의 스타일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했다. 최 전 대표가 이끌었던 시절 디스트릭트는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등 국내 기업의 해외 론칭쇼나 글로벌 브랜드의 행사에 쓰이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며 주목받았다. 아르떼뮤지엄의 출발이라 할 수 있는 ‘라이브 파크’ 역시 고인의 아이디어였다.
디지털 디자인업계에서 촉망받던 그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출장 중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면서 디스트릭트는 한때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라이브 파크’의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테마파크인 ‘플레이케이팝’을 열었던 게 분위기 전환에 주효했다. 이는 아르떼뮤지엄의 성공으로도 이어졌다. 이성호 디스트릭트 대표는 “최 전 대표가 아르떼뮤지엄 뉴욕 개관을 보며 하늘에서 흐뭇하게 웃고 있을 것”이라며 감회에 젖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