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쿠리 56만 원·빗자루 25만 원…한국 공예품, LA서 품절 행렬

  • 동아닷컴

코멘트
사라지던 빗자루·소쿠리가 미국에서 ‘작품’으로 부활했다. 사진은 ‘Made in Korea(한국에서 만들어짐)’가 적혀있는 연호정 작가의 ‘분청 소주병·화병’. 갤러리 코엔 제공
사라지던 빗자루·소쿠리가 미국에서 ‘작품’으로 부활했다. 사진은 ‘Made in Korea(한국에서 만들어짐)’가 적혀있는 연호정 작가의 ‘분청 소주병·화병’. 갤러리 코엔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골목, 창문 너머로 오래된 빗자루와 소쿠리가 놓여 있다. 한국에서도 점점 자취를 감추는 생활 도구들이 이곳에서는 ‘작품’으로 다시 태어나 현지인과 교포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소더비 경매에서 달항아리와 나전칠기함이 수억 원대에 거래되는 등 한국 공예의 위상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 현지에서 직접 한국 공예를 알리고 있는 이가 있다. 바로 한국 공예 공간 ‘스튜디오 코(Studio Kō)’를 운영하는 유이비 대표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라 미국으로 유학 온 그는 “일본 공예는 이미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한국 공예는 아직 소개조차 되지 못했다”며 “생활 속 익숙한 물건들이 사실은 세대를 이어온 지혜와 미학이 담긴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 빗자루, 소쿠리, 달항아리…모두 ‘발품’ 팔아 미국으로

스튜디오 코에서 판매 중인 빗자루와 소쿠리. 각각은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가격의 3배가 넘음에도 품절 상태이다. 스튜디오 코 홈페이지 캡처
스튜디오 코에서 판매 중인 빗자루와 소쿠리. 각각은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가격의 3배가 넘음에도 품절 상태이다. 스튜디오 코 홈페이지 캡처
유 대표는 경력 60년 장인의 빗자루, 손수 제작한 소쿠리, 달항아리, 방짜유기 등 한국 전통 공예품을 미국으로 들여와 소개한다. 모두 장인들을 직접 만나 발품을 팔아 구한 물건들이다. 그는 “외국 고객들이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전통과 현대의 균형을 맞춘 물건들을 들여온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이동균 장인의 빗자루(180달러·25만 원), 김계일 장인의 소쿠리(400달러·56만 원)는 현지에서 ‘작품’으로 팔리며 품절 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교포들에게는 뿌리를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 현지인들에게는 절제된 아름다움이 담긴 예술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실용성 속에 담긴 ‘절제의 미학’

갤러리 코엔에 전시돼 있는 달항아리의 모습. 갤러리 코엔 제공
갤러리 코엔에 전시돼 있는 달항아리의 모습. 갤러리 코엔 제공
대표적인 사례가 조선 후기 백자 ‘달항아리’다. 단순한 원형처럼 보이지만, 온화한 백색과 넉넉한 형태가 압도적인 존재감을 풍긴다. 이 때문에 ‘절제된 미학 속에 한국 공예의 정수가 담겨 있다’는 평가가 많다.

한국 공예는 단순한 장식에 머무르지 않고, ‘쓰임’을 기본으로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추구한다. 김예지 작가가 수세미 재료인 루파로 만든 주머니·그릇 등도 이러한 실용성과 현대적 재해석의 조화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K-공예의 힘은 ‘전통과 현대의 균형’

김예지 작가의 ‘질감에서 형태로’ 개인전 모습. 모든 제품은 수세미의 재료인 루파를 사용해 만들어졌다. 갤러리 코엔 제공
김예지 작가의 ‘질감에서 형태로’ 개인전 모습. 모든 제품은 수세미의 재료인 루파를 사용해 만들어졌다. 갤러리 코엔 제공
한국적인 것은 무엇일까. 유 대표는 “과거를 단순히 재현만 하는 것이 아닌,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태도”라고 설명했다.

다른 국가와의 교류와 재해석을 통해 발전해 온 한국 공예는 “전통을 잊지 않되 새로운 것을 받아들인다”는 중용의 미학을 지니고 있다. 이런 감각이야말로 한국적인 것을 세계로 확장할 원동력이라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수세미의 재료인 루파로 다양한 제품을 제작하는 김예지 작가의 작품. 스튜디오 코 홈페이지 캡처
수세미의 재료인 루파로 다양한 제품을 제작하는 김예지 작가의 작품. 스튜디오 코 홈페이지 캡처
유 대표는 이런 특징 덕분에 K-공예가 ‘빠르게 소비되는 유행’이 아니라 ‘깊고 지속적인 힘’을 갖게 만든다고 강조했다. “실용성과 아름다움의 공존은 세계 어디서든 특별하다. 한국 공예는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아주 굳건하게 자리 잡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K-공예, ”한국과 세계를 잇는 단단한 다리로”

(왼쪽) 한국이 쓰여진 연호정 작가의 화병. (오른쪽) 이지호 작가의 방짜 유기 그릇. 갤러리 코엔 제공
(왼쪽) 한국이 쓰여진 연호정 작가의 화병. (오른쪽) 이지호 작가의 방짜 유기 그릇. 갤러리 코엔 제공
유 대표는 K-공예의 미래에 대해 “대중적인 유행을 그대로 따르긴 어렵다”고 말했다. K-팝이나 K-드라마처럼 짧은 시간에 즐길 수 있는 콘텐츠와 달리, 공예품은 오랜 시간 곁에 두고 경험하면서 삶 속에 스며드는 예술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오히려 이런 점이 K-공예의 힘이라고 강조했다. “사람들은 결국 오래 두고 쓰면서 자기만의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는 것을 찾게 된다”며 “한국 공예의 실용성과 아름다움은 바로 그 지점에서 특별하다”고 했다.

스튜디오 코의 전시 공간 갤러리 코엔을 둘러보는 사람들. 갤러리 코엔 제공
스튜디오 코의 전시 공간 갤러리 코엔을 둘러보는 사람들. 갤러리 코엔 제공
이런 이유로 그는 판매를 넘어 전시 공간 ‘갤러리 코엔’까지 확장했다.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니라, 공예 안에 담긴 의미와 이야기를 함께 전달하는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서다.

“한국 공예는 조용하지만 단단한 물결로 세계에 자리 잡을 겁니다. 언젠가 한국 작가들이 직접 LA에 와 새로운 영감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을 이어갈 수 있는 아트 레지던시를 만들고 싶습니다.”

#한국 공예#전통과 현대#K-공예#달항아리#지속가능성#한국 작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