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제품內 칩 개수 따져 관세땐 스마트폰-TV 타격”

  • 동아일보

코멘트

국내 산업계, 美품목별 관세 촉각
외신“반도체 생산-수입 1대1 관세”… 내달부터 의약품에도 100% 물려
반도체업계 “1대1 관세 쉽지 않아”
가전업계 “칩 많이 써 피해 우려”

미국이 의약품에 이어 반도체와 전자제품 등에 대해서도 품목별 관세 부과에 나설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우려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반도체는 미국 생산량에 비례해 관세를 매기는 방안이 제기됐고, 전자제품은 제품 내에 들어있는 반도체 개수에 맞춰 관세 부과가 유력하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한미 관세 협상의 최종 타결이 지연되면 스마트폰과 TV 등 한국 핵심 수출품의 대미 수출에 ‘빨간불’이 켜질 가능성이 있다.


● 반도체·전자제품도 관세 임박

26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내에서 제조한 반도체와 수입한 반도체 물량 비율을 1 대 1로 맞추는 것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가령 반도체 기업이 미국에서 반도체 100개를 생산하면, 이 회사가 미국으로 수입하는 반도체 100개에 무관세 혜택을 주는 것이다. 다만 이를 넘어설 경우 고관세를 매긴다는 것이 미국 정부의 생각이다.

같은 날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전자제품 안에 들어간 칩 개수에 따라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칫솔부터 노트북에 이르는 광범위한 소비재가 타격을 입게 되면서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반도체와 전자제품까지 관세가 부과된다면 한국의 주요 대미 수출품은 대부분 미국발 관세 태풍의 영향권에 들게 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앞서 25일(현지 시간) “미국에 의약품 생산시설을 두지 않는다면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 또는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미국에 수출하는 철강·알루미늄, 구리제품 등에 50%, 자동차 및 부품에 25%의 관세를 내고 있다.

● 업종별로 엇갈리는 우려

반도체와 전자제품까지 품목별 관세를 낼 것이란 전망에 국내 기업들은 “최종안이 나올 때까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면서도 업종별로는 표정이 엇갈렸다.

우선 반도체 업계는 미국 내 생산량만큼 수입 관세를 면제하겠다는 정책에 대해 “회의적”이라는 반응이다. 한 반도체 관계자는 “반도체는 공급망이 복잡해 자국 생산 물량과 수입 물량을 나누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내에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 기지가 없기 때문에 제도 시행이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여기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들이 이미 미국 공장을 짓는 상황이라 해당 제도가 시행되면 오히려 국내 반도체 기업에 유리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반면 전자제품은 반도체가 많이 들어가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정보기술(IT) 기기와 스마트 TV 등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제품과의 기술 차별화를 위해 스마트 TV에 다수의 반도체를 쓰고 있는데 반도체 개수에 따른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피해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이 전자제품 반도체 개수에 따라 관세를 어떻게 올릴지는 불확실하다. 해당 보도를 한 로이터도 미 상무부가 반도체 포함 수입 가전기기는 25%, 일본·유럽연합(EU)은 15%의 관세율 인상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 수치가 잠정적이라고 전했다. 다만 가전업체들은 “이미 관세를 내는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이어 반도체까지 관세를 부과할 경우 대미 수출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국#관세#수출#인플레이션#한미관세협상#품목별 관세#대미 수출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