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케이블 생산설비 확충 속도
다양한 전력판매 허용 등 기대감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 재생에너지 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재생에너지 업계에 힘을 실어주는 공약을 잔뜩 내놨기 때문입니다.
가장 빠르게 반응한 것은 해저케이블 업계입니다. 이 대통령이 해상에 송전로를 까는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을 시행하겠다고 하자 여기에 맞춰 생산 설비 확충에 나섰습니다.
우선 대한전선은 이달 말 현재 일부 생산이 이뤄지고 있는 충남 당진시 해저케이블 1공장을 확장해 준공합니다. 이는 대한전선의 첫 해저케이블 전용 생산 공장입니다. 2027년 가동하는 2공장 부지도 인근에 마련해 현재 건설 계획을 수립 중입니다. LS전선도 최근 자회사를 통해 해저케이블용 초고압 직류송전을 운반할 수 있는 1만3000t급 포설선(해저케이블 설치 선박) 건조에 나선다고 발표했습니다.
에너지 고속도로가 현실화하면 재생에너지 업계의 고질병이었던 송전망 부족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지금은 송전망을 만들 때마다 주민 반대와 인허가라는 큰 벽에 부딪히고 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현재 신규 송전선로 31곳 중 26곳에서 건설이 지연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송전로가 바다로 지나가면 아무래도 주민 저항에 부딪힐 가능성이 낮아질 것이란 기대가 나옵니다.
한국전력 중심의 전력거래시스템이 개편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지금은 전력 대부분을 한국전력을 거쳐 매매하고 있습니다. 사업자끼리 거래가 가능한 직접전력구매계약(PPA) 제도가 있지만 활성화되지 않았습니다. PPA도 결국 송전망은 한국전력의 것을 활용하는데 이때 송전망 이용료 산정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여전하기 때문입니다. 계약 전력량이 300kW(킬로와트) 이상의 사업자만 PPA를 활용하게 돼 있는 것도 중소기업들의 진입을 막는 요인입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PPA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공약을 내놨습니다.
또 이 대통령은 발전사업에서 발생한 수익을 인근 주민들과 나누는 ‘햇빛연금’ ‘바람연금’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업을 키울 예정입니다. 이러한 공약들은 추후 기후에너지부가 신설되면 본격 논의될 것입니다. 전력 소모가 많아지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기 공급이 중요해진 마당에 재생에너지 업계의 여러 문제들이 잘 정리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