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인 51.5%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수도권 거주 비율은 55.9%에 달해 쏠림현상이 더 심각하다. 좋은 일자리와 촘촘한 교통망, 복지·문화 인프라를 좇아 인구가 모여드는 수도권은 만성적인 주택 부족, 교통 혼잡, 환경 문제를 경험하고 있고, 지역은 반대로 급격한 인구 감소에 애가 타고 있다.
수도권도, 지역도 행복하지 않은 상황이다. 대통령도 이런 문제의식 아래 “지역균형발전은 국가 경쟁력의 문제”라고 강조한 바 있다. 지역균형발전의 핵심은 지역에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넘어, 지역을 경험하며 삶의 기회를 찾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지역 청년’이 있다.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고 지역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다. 청년마을 조성,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고향올래 및 로컬브랜딩 사업, 청년 주거공간 조성이 대표적이다. 특히 ‘청년마을’은 청년이 주인공이 돼 사업을 이끄는 선도적인 청년을 위한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원 홍천의 ‘와썹타운’은 청년들이 직접 농사지은 메밀과 참깨를 활용해 지역 명물인 막국수 가게를 창업하고, 젊은 감성의 농촌 봉사를 체험할 수 있는 ‘촌캉스’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에 뿌리내리고 있다. 충북 보은에는 자전거, 오토바이 라이더들에게 사랑받는 피반령에 자리한 ‘라이더타운’이 있다. 라이더들이 쉬어갈 수 있도록 카페를 운영하며 지역 특산물인 대추차를 판매하고, 주민들과 외지 라이더가 함께하는 축제를 열면서 더욱 찾고 싶은 지역, 열린 지역을 만들어 가고 있다.
봄에 여러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지역 소멸 우려를 더욱 키웠지만, 인접 지역의 대학생들은 피해 주민에게 생필품을 제공하고 다시 나무를 심고, 재난에서 회복하는 과정을 기록하며 행정과는 다른 손길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행안부도 재난 피해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년들을 지원하고자 관련 예산을 이번 추경에 반영했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다.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 중 89개인 인구 감소 지역에서 청년 인구는 부족하다. 청년을 수도권으로 빨아들이는 강력한 흐름을 하나의 정책만으로 즉시 바꾸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청년 정책은 단기간의 정착을 성과로 강조하기보다는 생활 인프라를 점차 개선하면서 청년과 지역 커뮤니티의 연결을 두껍게 하고, 지역 기업과의 일자리 매칭도 강화하는 등 장기적인 호흡으로 추진해야 한다.
청년이 지역에서 삶의 기회를 찾고 행복할 때, 비로소 지역은 되살아나고 국가는 고르게 발전할 수 있다. 지역에서 삶의 길을 만들어 가는 청년들이 진짜 대한민국의 미래다. 행안부는 청년들이 지역에서 깊게 뿌리내리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다. 지역 청년들이 만드는 진짜 대한민국을 기대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