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만리화 108년만의 귀환… “철저한 기록으로 생물 주권 대비”[김선미의 시크릿가든]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국립수목원-하버드大 아널드수목원
美 식물학자 어니스트 윌슨이 남긴
1917년 한반도 희귀식물 자료 전시
우리 식물 15종 건강하게 돌아와… 자생식물 기록-연구 강화 계기로

1917년 어니스트 헨리 윌슨이 찍은 울릉도 도동 절벽의 향나무. 절벽 위쪽 향나무에 한 남성이 앉아 있다. 국립수목원·아널드수목원 제공
1917년 어니스트 헨리 윌슨이 찍은 울릉도 도동 절벽의 향나무. 절벽 위쪽 향나무에 한 남성이 앉아 있다. 국립수목원·아널드수목원 제공
우산을 펼친 듯 넓은 잎의 식물이 수려한 바위 아래 군락을 이뤘다.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로, 우리나라 산과 들에 저절로 자라는 식물 중 가장 큰 잎을 지닌 개병풍이다. 바위틈으로는 금강인가목이 보인다. 미국 하버드대 부설 아널드수목원 소속 식물학자였던 고(故) 어니스트 헨리 윌슨(1876∼1930)이 일제강점기인 1918년 7월 금강산에서 촬영한 흑백사진 속 풍경이다.

국립수목원에서 열리고 있는 ‘우리 식물의 잃어버린 기록’ 전시. 포천=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국립수목원에서 열리고 있는 ‘우리 식물의 잃어버린 기록’ 전시. 포천=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국립수목원과 아널드수목원은 윌슨이 1917∼1918년 한반도 전역을 탐사하며 남긴 300여 장의 사진과 기록을 엄선해 ‘우리 식물의 잃어버린 기록’ 자료집을 최근 공동 발간했다. 국내에 당시 식물 기록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아널드수목원이 윌슨의 사진과 기록을 ‘통 크게’ 제공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번 간행물은 국립수목원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이달 30일까지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에서 관련 전시도 열리고 있다.

1917년 함경북도 무산군을 조사 중인 어니스트 헨리 윌슨. 국립수목원·아널드수목원 제공
1917년 함경북도 무산군을 조사 중인 어니스트 헨리 윌슨. 국립수목원·아널드수목원 제공
윌슨이 1917년 금강산에서 채집한 금강인가목은 세계적으로 금강산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이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 중이며 남한에선 볼 수 없다. 아널드수목원은 윌슨이 수집한 금강인가목을 증식해 1924년 영국 에든버러 왕립식물원에 분양했다. 이후 아널드수목원에 있던 개체는 고사해 북한을 제외하고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에든버러 왕립식물원에서 금강인가목을 볼 수 있다.

장계선 국립수목원 연구관은 “2012년 에든버러 왕립식물원이 국립수목원에 분양한 금강인가목은 한국에 와서 죽었다”며 “윌슨이 남긴 100여 년 전 사진은 금강인가목에 필요한 생육 조건을 파악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말했다. 울릉도 도동 향나무 자생지의 108년 전 모습도 윌슨의 사진을 통해 알 수 있다.

아널드수목원에서 들여와 국립수목원이 증식 중인 우리 식물들.
포천=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아널드수목원에서 들여와 국립수목원이 증식 중인 우리 식물들. 포천=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아널드수목원은 이번에 사진과 기록뿐 아니라 윌슨이 가져갔던 우리 식물 15종도 꺾꽂이, 묘목, 종자 형태로 제공했다. 올해 6월 서울 코엑스에 열린 세계식물원교육총회 때 국립수목원과 업무협력의향서를 맺은 후속 조치다. 특히 이번에 국내에 들어온 만리화는 윌슨이 1917년 금강산에서 채집해 갔던 개체여서 ‘108년 만의 귀환’이다. 만리화는 국내 다른 곳에도 자생하지만 이번에 들어온 것처럼 금강산 개체는 없었다.

국립수목원과 아널드수목원의 이번 교류는 국내 식물 외교의 물꼬를 튼 셈이다. 기후위기 시대 생물 주권(생물자원에 대한 국가의 소유권) 확보가 절실해진 가운데 식물을 현지가 아닌 곳에 중복 보전하면 식물의 멸종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옛 식물 사진과 자료를 통해 남북한 식물학자 교류와 연구 활성화에 대한 기대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두 기관의 교류가 국내 식물원과 수목원 발전을 위한 보완점을 제시했다고 본다. 김용식 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는 “우리가 미처 남기지 못한 기록을 아널드수목원이 했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과거를 되돌아볼 수 있다”며 “국내 식물원과 수목원들이 이제는 철저한 기록을 바탕으로 식물 수집, 연구와 교육을 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국립수목원#아널드수목원#개병풍#금강인가목#식물교류#생물주권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