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초소형 기지국 신호 수신 고객 중
5561명 ISMI 유출 가능성 확인돼
“신호수신 고객 모두 유심 교체 지원”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11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기자 브리핑에 앞서 고개 숙여 사과 하고 있다. 2025.09.11 뉴시스
KT가 11일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일부의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했다. IMSI는 통신사가 이용자를 인증하는 핵심 정보로 유심에 저장된다.
KT는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고의 원인이 된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신호 수신 이력이 있는 고객 전원에게 무료 유심 교체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앞선 SKT 해킹 사태 역시 유심 정보가 유출됐었다. 이후 SKT 가입자 상당수가 개인 정보 유출을 우려로 KT와 LGU 등으로 통신사를 옮겼다. 하지만 이번에 또 비슷한 사고가 터지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또 옮겨야하나” 등 불안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KT에 따르면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한 일부 고객의 IMSI 유출 정황이 확인됐다. KT는 같은 날 오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관련 내용을 신고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신호 수신 이력이 있는 고객 중 IMSI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고객은 총 5561명이다. KT 관계자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 신호 수신 이력이 있는 고객 전원에게 무료 유심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김영섭(가운데) KT 대표이사가 11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기자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9.11. 뉴시스KT 자체 조사에 따르면 10일 기준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 건수는 278건, 피해 금액은 1억7000여만 원으로 파악됐다.
KT는 그간 소액결제 해킹 사건과 관련해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이달 1일 KT에 연쇄 소액결제 피해 발생 사실을 알렸으나, KT는 ‘그런 일(해킹)은 일어날 수 없다’는 취지로 답하며 별다른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KT가 정부에 피해 사실을 신고한 것은 일주일이 지난 이달 8일이었다.
김영섭 KT 대표는 11일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사고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고 “KT를 아껴주시는 국민, KT 고객, 유관 기관 여러분께 염려를 끼쳐 드려 정말 죄송하다”며 “피해가 발생된 고객께 머리 숙여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김 대표는 “8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비정상적 소액 결제 시도 관련 침해 사고를 신고하고, 관계 당국과 함께 사고 원인을 파악 중”이라며 “회사와 임직원의 모든 역량을 투입해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술적 조치를 취했고, 피해 고객들께는 100%의 보상책을 강구하고 조치하겠다”고 했다.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11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기자 브리핑에 앞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왼쪽부터 서창석 KT 네트워크부문장, 김 대표이사, 이현석 KT 고객(Customer)부문장. (공동취재) 2025.09.11. 뉴시스김 대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현장에서 수사 중인 경찰과도 적극적으로 협조해 사고 발생 원인을 철저히 규명토록 하겠다”며 “다시는 이러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방지책 또한 만전을 기해서 준비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의 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반성하면서 국민, 고객 여러분께 안심할 수 있도록 통신사로서의 의무와 역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