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후 자영업에 대거 진출하는 것이 국내 경제의 중대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이슈노트: 늘어나는 고령 자영업자, 그 이유와 대응 방안’에 따르면 2023년 통계상 우리나라의 자영업자(무급 가족 종사자 포함 기준) 비중은 23.2%에 달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가운데 7위일 뿐 아니라 평균(16.6%)을 크게 넘어선다.
이렇듯 여타 선진국 대비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원인으로는 고령 자영업자 증가가 지목된다. 실제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가 본격화한 영향으로 2015년 142만 명이었던 고령 자영업자의 수가 지난해 210만 명까지 늘었다.
한은은 1차 베이비붐 세대에 이어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들까지 은퇴에 나설 경우 자영업자 수가 더 크게 늘어날 수 있다며 2032년 60세 이상의 고령 자영업자 수가 총 248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체 취업자 수의 9%에 달하는 수치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고령 은퇴자들의 자영업 진출이 국내 경제 성장에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준비 부족과 낮은 생산성으로 인해 다른 연령대의 자영업에 비해 수익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2022년 진행된 소상공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60대와 70대 고령 자영업자들의 1인당 연간 매출은 각각 3000만 원과 2000만 원으로 40대 연간 매출액(4600만 원)을 크게 밑돌고, 60대 신규 자영업자의 35%는 연간 영업이익이 1000만 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고령층의 자영업 진입을 줄이고 안정적인 임금 근로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