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준으로 우리 기업이 해외에서 대규모 건설공사를 수행하고도 1년 이상 대금을 지급받지 못한 ‘장기 미수금’이 1조26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권영진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해외 건설공사 장기 미수금은 9억 달러(약 1조2680억 원)로 집계됐다. 2020년 13억8000만 달러(약 1조9440억 달러)에 비하면 감소하는 추세지만 여전히 ‘못 받은 돈’이 1조 원이 넘는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발주처와 시공사 간 의견 차이로 분쟁이 발생하거나 발주처의 재원이 부족해지는 등의 사유 때문에 미수금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중동 지역에서 발생한 장기 미수금이 7억5000만 달러(약 1조570억 원)로 가장 많았다. 중동 지역에서 진행 중인 신도시 및 사회기반시설(SOC) 공사 한 건에서만 미수금 3억3000만 달러(약 4650억 원)가 남아 있었다. 이 사업은 미수금 문제로 사업이 2년가량 중단됐다가 지난해 일부를 회수하며 재개된 바 있다. 중동에서 총 계약금액이 20억 달러를 넘는 정유 플랜트 시공 사업을 하는 한 기업도 미수금이 1억7000만 달러(약 2390억 원) 남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에서 발생한 장기 미수금도 1억1000만 달러(약 1550억 달러)로 적지 않았다. 한 기업은 아시아권에서 발전소 건설 사업을 하고 있는데, 계약 금액 중 4000만 달러(약 560억 원)를 4년째 회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영진 국민의힘 의원. 2025.01.16 서울=뉴시스권 의원은 “지난 정부에서 국토부가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여 다소 완화된 측면은 있으나 여전히 1조 원대가 넘는 장기 미수금이 남아 있다”며 “우리 건설사들이 산적한 악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정부가 외교적 채널과 국제 협력 수단을 총동원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G2G(정부 대 정부) 차원의 노력으로 미수금 문제 해소를 위해 고위급 면담 및 현지 대사관을 통한 외교적 지원 등도 실시하고 있다”며 “지난해 장관을 대표로 한 수주지원단을 중동 지역에 보내 미수금 3억 달러를 수령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