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말 백악관에 서신 전달
칩스법 범위 공급망까지 확대 요청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미국 정부에 반도체 세액공제의 범위를 넓혀 달라고 요청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AI 거품론, 위기설’이 불거지는 가운데 AI 인프라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하면서 정부 지원을 필요로 하는 모습이다.
8일(현지 시간) 로이터 등 외신은 오픈AI가 지난달 말 미국 백악관에 서신을 보내 반도체지원법(칩스법)의 투자세액공제 대상을 관련 공급망까지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칩스법을 통해 미국에 반도체 생산 공장을 짓는 기업에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있다.
오픈AI가 요청한 세액공제 대상은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AI 서버 제조업, 변압기 및 특수강 등 전력망 구성 요소다. 오픈AI는 “투자세액공제 대상 확대로 자본의 실질적 비용을 낮추고 초기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미국 AI 인프라 구축도 가속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오픈AI의 임원이 AI 반도체 구매 비용을 미국 정부가 보증해 주는 방안을 거론하기도 했다. 이에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AI·가상화폐 차르가 “AI에 대한 연방정부의 구제금융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으며 논란이 됐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직접 나서 “우리는 오픈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정부 보증을 보유하고 있지도, 원하지도 않는다”고 해명했다.
박종민 기자 blick@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