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의 명칭을 ‘전쟁부(Department of War)’로 바꾸겠다는 뜻을 25일 밝혔다. 최근 수도 워싱턴, 2대 도시 로스앤젤레스 등에 치안 유지를 이유로 속속 주방위군을 투입하고 캐나다, 덴마크령 그린란드 등을 호시탐탐 노리는 그가 ‘트럼프식 팽창주의’ 인식을 부처 명에 반영하려 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음달 중국 견제에 중심을 둔 새로운 국방전략 발표를 앞두고 중국과의 군사 패권 경쟁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뜻을 강조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2025.08.25. 워싱턴=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백악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 도중 취재진으로부터 ‘주요 도시에 투입한 군 병력 배치를 확대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을 받자 부처명 변경 발언을 꺼냈다. 그는 “우리가 제1,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했을 땐 (국방부의 이름이) 전쟁부였다. 그것이 이 부처의 본질”이라고 했다. 이어 “나는 ‘방어’만 하고 싶지 않다. ‘공격’도 원한다”며 “미국은 전쟁부라는 이름으로 찬란한 역사를 썼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집권 후 줄곧 국방부 명칭에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올 6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했을 때도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을 ‘전쟁장관’으로 불렀다. 국방장관을 전쟁장관으로 불러야 하는데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문화 때문에 그러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쟁부는 건국 초기인 1789년부터 해리 트루먼 전 대통령 시절인 1947년까지 158년간 존속했다. 당시 트루먼 전 대통령은 그간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해군을 군 체계에 통합해 국방부라는 이름을 붙였다. 해군에 대한 연방정부의 장악력을 강화하고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평화 수호자’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한 포석으로 받아들여졌다.
당시 국방부는 의회 제정 법률에 따라 설립됐다. 만약 전쟁부로 부처명을 변경하려면 의회 승인이 필요하다.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빠르면 1주일 안에 명칭 변경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