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까지 관세 붙을까…트럼프 행정부, ‘핵심 광물’에 추가

  • 뉴시스(신문)

코멘트

은·구리·야금용 석탄 등 10개 자원 ‘핵심 광물’ 추가
은 시장 ‘가격 급등·재고 급증’ 여파 확산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실버바가 진열돼있다.  2025.06.11 뉴시스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실버바가 진열돼있다. 2025.06.11 뉴시스
미 내무부가 구리·은·야금용 석탄을 ‘핵심 광물(critical minerals)’ 목록에 새로 포함했다. 이에 향후 이들 자원이 관세 정책이나 연방 지원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6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 지질조사국(USGS)은 3년마다 갱신하는 ‘핵심 광물 목록’에 10개 원소를 새로 추가했다.

이 목록은 국가안보를 이유로 특정 품목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무역법 232조 검토 대상 광물을 결정하고,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국내 광물 개발 프로젝트의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핵심 광물 공급망 확보를 최우선 정책 과제로 삼고 있으며, ‘핵심 광물’의 정의를 과거보다 대폭 확대해왔다. 이번에 추가된 원소 중 일부는 이미 미국이 대량 생산 및 수출하는 자원으로, 야금용 석탄과 붕소 등이 대표적이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핵심광물안보프로그램 책임자 그레이슬린 바스카라는 “이번 지정은 미국 정부가 어떤 자원을 전략적으로 우선시하는지를 시장에 알리는 신호”라며 “핵심 광물로 지정되면 정부의 지원을 훨씬 쉽게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구리와 야금용 석탄의 추가는 이미 예상된 바였으나, ‘은’의 경우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스탠다드차타드의 수키 쿠퍼 애널리스트는 “미국이 은에 관세를 부과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며 “이번 지정은 그 과정의 ‘첫 단계’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은 이미 일부 은 제품에 대해 관세 면제 품목 코드를 부여해 놓은 상황으로, 특정 형태의 은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잠재적 관세 부과 우려로 최근 뉴욕에서는 은 재고가 급격히 쌓이며 지난달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고, 런던에서는 일시적인 공급 부족 현상까지 나타났다. 현재 미국은 전체 은 소비량의 약 3분의 2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자제품·태양광 패널·보석·투자용 등으로 폭넓게 사용된다. 산업 수요와 투자 수요가 맞물리며 지난달 은 가격은 온스당 50달러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