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우크라이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지역에서 방공부대 소속 군인들이 러시아가 발사한 드론을 요격하고 있다.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AP뉴시스
미국 알래스카주에서 1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 방안을 논의하기로 한 가운데 우크라이나에서도 “속히 전쟁을 끝내자”는 주장이 “결사 항전”을 외치는 쪽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 후 3년 반 동안 전쟁이 지속되며 피해가 누적된 결과로 보인다. 전쟁 초기에는 러시아에 끝까지 맞서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이 같은 변화는 반(反)러시아 여론을 결집시켜 집권 기반을 다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해 5월 5년 임기가 끝났음에도 전쟁을 이유로 대선을 실시하지 않아 집권 정당성 논란에 휩싸였다. 최근에는 자신과 측근의 부패를 수사하려는 정부 기관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법안을 통과시켜 전쟁 후 줄곧 자신을 지지했던 유럽연합(EU)으로부터도 큰 비판을 받았다.
여론조사회사 갤럽은 최근 15세 이상 우크라이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7일 공개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24%만이 “승리할 때까지 계속 싸워야 한다”고 답했다. 전쟁 첫해인 2022년 이 응답은 73%에 달했다. 하지만 2023년(63%), 지난해(38%)에 이어 올해 들어서도 하락세가 뚜렷하다.
반면 69%는 “가능한 한 빨리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2022년에는 22%에 그쳤지만 불과 3년 만에 3배 이상으로 늘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러시아가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땅을 결코 양보하지 않겠다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생각과는 달리 ‘휴전을 위해서라면 영토 양보도 가능하다’는 주장도 더 이상 금기가 아니라고 진단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지지율 또한 하락세다. 6일 수도 키이우의 국제사회학연구소(KIIS)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는 58%에 그쳤다. 미국과 광물 협정을 체결했던 올 5월(74%)보다 16%포인트 하락한 것. 전쟁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줄고 부패 수사 약화 등 젤렌스키 정권의 실정이 계속된 결과라고 KIIS는 분석했다.
반젤렌스키 진영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젤렌스키 대통령의 최대 라이벌로 꼽히는 비탈리 클리치코 키이우 시장은 10일 독일 빌트지 인터뷰에서 “모든 국민이 전쟁에 지쳤다”며 영토 양보에 대한 젤렌스키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클리치코 시장은 “일부 국민은 영토 일부를 러시아에 넘겨줄 준비가 되지 않았지만 대통령이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한다”며 일부 영토를 내주더라도 속히 휴전하자는 취지의 주장을 폈다.
● 밴스 “우크라 포함 3자 회담 추진”
한편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10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15일 알래스카 미-러 정상회담에 젤렌스키 대통령을 포함시키는 ‘3자 회담’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8일 미국과 러시아가 정상회담 사실을 공개한 후 “전쟁 당사자인 우크라이나가 빠진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는 국제 사회의 비판 여론이 고조된 것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다만, 3자 회담을 거부해 온 푸틴 대통령이 여기에 동의할 가능성은 낮다. 밴스 부통령 또한 그간 휴전 논의가 진전을 보지 못한 이유가 “푸틴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나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인정했다. 그는 또 15일 회담의 결과가 양측 모두에게 엄청난 만족을 주기는 어렵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둘 다 불만을 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크라이나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이번 회담을 미국의 경제제재 해제, 전쟁 정당성 확보 등에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한다. 우크라이나의 유명 경제학자인 로만 셰레메타는 11일 키이우포스트 기고문에서 “트럼프가 ‘현대판 히틀러(푸틴)’에 굴복했다. 이번 회담은 전적으로 러시아 이익에만 부합한다”고 불만을 표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