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피언’ 불 당기고 백악관은 기름… “좌파는 해고-처벌”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14일 20시 50분


코멘트
미국 보수 성향 활동가 찰리 커크의 죽음을 애도하는 꽃과 쪽지 옆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이 놓여있다. 유타=AP 뉴시스
“폭력을 조장하는 극좌 조직들을 해체해야 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핵심 책사’로 꼽히는 스티브 밀러 백악관 부비서실장은 12일(현지 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10일 암살당한 청년 보수단체 ‘터닝포인트 USA’의 찰리 커크 창립자 겸 대표가 자신에게 마지막으로 보낸 문자 메시지에서 이같이 강조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밀러 부비서실장은 “우리는 커크의 유지를 받들어 (극좌 조직 해체를) 실행으로 옮기겠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극렬 지지층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이 커크 암살 사건을 계기로 반대파에 대한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커크를 ‘순교자’라고 칭한 가운데 핵심 참모들이 일제히 정치 공세에 나서는 양상이다. 커크 추모 반대론자들에 대한 해직과 신상 털기 등 일반인들에 대한 공격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미국 보수 성향 활동가 찰리 커크의 죽음을 애도하는 연설을 하는 공화당원들. 뉴욕=AP 뉴시스
실직·신상 털기 등 전방위 마녀사냥

트럼프 대통령을 필두로 백악관 핵심 관계자들은 좌파 진영 및 단체에 대한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13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극좌 미치광이들이 미국의 회복을 방해한다”며 좌파 단체에 대한 조치에 나서겠다는 뜻을 시사했다.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도 11일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백악관 차원의 혐오단체 대응책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트럼프 진영의 반대 진영에 대한 공세 움직임은 수사적 표현에 그치지 않는다. 밀러 부비서실장은 음모 혐의나 조직범죄처벌법(RICO)을 활용해 강경 좌파 성향 단체들을 기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폭스뉴스에 밝혔다. RICO는 마피아 소탕을 위해 정식 범죄조직이 아닌 결사체도 처벌할 수 있도록 1970년에 제정된 특별법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이자 극우 인플루언서인 로라 루머는 “이들(극좌 조직들)의 비영리단체 지위를 박탈해 세제 혜택을 끊자”고 주장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 등 주요 명문대들을 압박하면서 사용한 방식이기도 하다.

커크 추모에 반감을 드러낸 이들을 겨냥한 마녀사냥도 벌어지고 있다. 루머는 자신의 X에 반(反) 추모에 가세한 연방정부와 주정부 관계자들 신상을 공개하며 이들의 해직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찰리의 살인자를 고발한다’라는 웹사이트에도 일반인 등 39명의 신상이 올라왔다. 로이터통신은 미국 내 공직자와 일반인 중 최소 15명이 커크 추모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실직했다고 전했다.

미국 국방부와 국무부도 이런 분위기에 힘을 보태는 움직임을 취하고 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11일 X에 “(온라인에서 커크의 죽음을 비꼬거나 축하한 직원을) 면밀히 주시해 즉각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크리스토퍼 랜도 국무부 부장관도 “폭력과 증오를 미화하는 외국인에게 적절히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커크에 대한 반감을 드러낸 외국인을 추방하거나 입국을 불허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무장한 보안 요원들이 11일(현지 시간) 찰리 커크의 시신을 담은 관이 들어온 피닉스 스카이하버 공항을 경계하고 있다. 성조기와 저격용 총이 보인다. 피닉스=AP 뉴시스
극단 대립 우려 목소리도 커져

다만, 커크 암살 뒤 극단적 대립으로 치닫는 정치 분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암살 사건이 발생한 유타주의 스펜서 콕스 주지사는 12일 기자회견에서 “분노가 유일한 선택지처럼 느껴지지만 우리는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다”며 화해를 촉구했다. 콕스 주지사는 공화당 내 중도 성향으로 꼽힌다.

워싱턴 정가도 사태 진정을 시도하고 있다. 역시 공화당 소속인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은 “가까운 친구였던 커크의 죽음이 아직도 실감 나지 않지만 나는 계속해서 이곳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사설에서 “투표로 선출된 정치인은 특정 정파가 아닌 미국인 모두를 대표한다는 점을 정치인들이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찰리커크#청년보수#미국#트럼프2기#극좌 조직 해체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