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일부터 시작된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이 5일로 36일째를 맞으며 사상 최장기 셧다운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기존 최장 기록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1기 시절인 2018년 12월 22월부터 2019년 1월 25일까지의 35일이었는데 이를 경신한 것이다. 셧다운 장기화로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야당 민주당의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 진행 방해)를 무력화하기 위해 의결정족수를 조정하는 ‘핵 옵션(nuclear option)’ 발동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공화당원들이여, 필리버스터를 폐지하라”고 요구했다. 기록 경신을 앞둔 4일에는 “우리가 필리버스터를 폐지(핵 옵션)하지 않는다면 내년 11월 중간선거와 2028년 대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가능성이 높다”며 “미친 민주당 광인들이 투표를 거부해 3년 동안 아무것도 통과되지 않을 것이고, 공화당이 그 책임을 뒤집어쓸 것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핵 옵션은 전체 100석인 상원에서 필리버스터를 종결하기 위한 투표의 의결정족수를 기존 60표에서 단순 과반(51표)으로 낮추는 것을 뜻한다. 현재 집권 공화당 상원의원은 53명이어서 의사규칙 개정을 통해 정족수를 변경하면 공화당 자력으로 필리버스터를 끝낼 수 있다. 공화당은 앞서 9월 공직 후보자 인준 절차가 민주당 반대로 지연되자 핵 옵션을 발동한 전례가 있다. 다만 이것이 상원의 초당적 협치 문화를 파괴할 가능성 또한 높아 ‘핵’이란 별명이 붙었다.
4일(현지 시간) 미 텍사스주 오스틴의 푸드뱅크에서 한 여성이 유모차에서 자고 있는 딸과 함께 식료품을 받고 있다.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일시 중단)이 장기화하면서 저소득층 대상 식비 지원 프로그램(SNAP) 지원이 중단된 후 식료품 배급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2025.11.05. 오스틴=AP/뉴시스실제로 공화당에서조차 핵 옵션에 회의적인 분위기가 강해 실제로 발동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존 슌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3일 “대통령이 필리버스터에 반대하는 게 새삼스러울 일은 아니다”라고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 공화당 의원들 사이에서 필리버스터를 폐지하자는 여론이 강하지 않다고 전했다.
공화당이 4일 버지니아와 뉴저지 주지사 선거, 뉴욕 시장 선거 등 지방선거에서 패한 것 또한 핵 옵션 발동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핵 옵션 발동 시 ‘선거에서 패했는데도 민의를 무시하고 독단적인 행보를 이어간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핵 옵션까지 거론한 것은 셧다운 장기화가 자신의 지지율과 정부 운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 의회예산국(CBO)은 이번 셧다운이 8주 동안 지속되면 경제 손실이 최대 140억 달러(약 203조 원)에 이를 것이고 성장률이 2%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