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사람이 ADHD라면”… 이런 말을 해줘야

  • 동아닷컴

코멘트

“다르게 보는 게 너만의 매력”…ADHD를 위한 확언

ADHD를 가진 사람에게 시선과 생각을 인정하는 말은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관계를 깊게 만든다. 전문가들은 타이밍과 진정성을 갖춘 구체적 칭찬이 변화를 만든다고 조언했다. (사진=게티이미지)
ADHD를 가진 사람에게 시선과 생각을 인정하는 말은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관계를 깊게 만든다. 전문가들은 타이밍과 진정성을 갖춘 구체적 칭찬이 변화를 만든다고 조언했다. (사진=게티이미지)

“네가 세상을 보는 그 시선이 좋아(I love how your brain works)”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건네는 한마디의 확언이 자존감을 끌어올리고 인간관계를 깊게 만들 수 있다는 전문가의 조언이 나왔다.

■ “다르게 보는 시선”이 주는 힘

ADHD를 가진 사람에게 시선과 생각을 인정하는 말은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관계를 깊게 만든다. 전문가들은 타이밍과 진정성을 갖춘 구체적 칭찬이 변화를 만든다고 조언했다. (사진=게티이미지)
ADHD를 가진 사람에게 시선과 생각을 인정하는 말은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관계를 깊게 만든다. 전문가들은 타이밍과 진정성을 갖춘 구체적 칭찬이 변화를 만든다고 조언했다. (사진=게티이미지)

미국 임상 심리사 알리스 코너 박사는 행동·심리학 전문 매체 사이콜로지 투데이(Psychology Today)와의 인터뷰에서 “ADHD의 특성을 있는 그대로 축하하고 사랑한다고 전하는 말은 예상보다 훨씬 큰 변화를 만든다”고 말했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어린 시절부터 ‘게으르다’, ‘집중을 못한다’, ‘신뢰할 수 없다’는 말을 반복적으로 들으며 자존감이 깎인다.

코너 박사는 “이런 언어는 단순한 행동 지적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씨앗이 된다”며 “이들은 하루 대부분을 ‘미안하다’는 말로 보내고, 늘 삶이 미완성 상태처럼 느낀다”고 설명했다.

■ 결과보다 ‘시선’을 칭찬하라

ADHD를 가진 사람에게 시선과 생각을 인정하는 말은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관계를 깊게 만든다. 전문가들은 타이밍과 진정성을 갖춘 구체적 칭찬이 변화를 만든다고 조언했다. (사진=게티이미지)
ADHD를 가진 사람에게 시선과 생각을 인정하는 말은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관계를 깊게 만든다. 전문가들은 타이밍과 진정성을 갖춘 구체적 칭찬이 변화를 만든다고 조언했다. (사진=게티이미지)

그는 ADHD를 가진 사람에게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을 권했다. 이는 “넌 똑똑하다” “넌 재능이 있다”처럼 결과 중심의 칭찬과는 다르다.

“네가 세상을 보는 그 시선이 좋아 (I love how your brain works)”
“너의 생각 방식이 참 마음에 들어 (I love the way you think)”
“다르게 바라보는 게 너만의 매력이야 (Your brain works differently, and I love that)”
“나는 상상도 못한 방법이었어(That’s a solution I never would have thought of)”

코너 박사는 “ADHD로 인해 ‘고장났다’고 믿어온 뇌가 있는 그대로 사랑받는 경험은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잠재력을 끌어낸다”며 “창의적 시도와 관계 회복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피드백은 숨겨진 잠재력을 끌어내고, 창의적인 시도를 가능하게 한다. 또 연인과의 사랑을 깊게 하고, 부모-자녀 사이의 이해를 넓히며, 친구 관계에도 새로운 변화를 불러온다.

■ 진정성과 타이밍이 관건

ADHD를 가진 사람에게 시선과 생각을 인정하는 말은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관계를 깊게 만든다. 전문가들은 타이밍과 진정성을 갖춘 구체적 칭찬이 변화를 만든다고 조언했다. (사진=게티이미지)
ADHD를 가진 사람에게 시선과 생각을 인정하는 말은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키고 관계를 깊게 만든다. 전문가들은 타이밍과 진정성을 갖춘 구체적 칭찬이 변화를 만든다고 조언했다. (사진=게티이미지)

다만 이런 말은 실수 직후 위로처럼 건네면 효과가 반감된다. 독창적인 문제 해결이나 다른 사람이 놓친 포인트를 발견했을 때처럼 진심 어린 감탄이 느껴지는 순간에 전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상황을 덧붙이면 더 효과적이다.

무엇보다 ‘하지만(but)’으로 이어지는 말은 피해야 한다. 앞서 한 모든 긍정이 한 번에 사라지기 때문이다.

코너 박사는 “그 사람의 시선을 사랑한다고 말하면, 그도 자신의 시선을 사랑하게 된다”며 “ADHD의 가능성은 예측할 수 없지만, 그 과정에서 놀라운 순간들이 탄생한다”고 말했다.

#ADHD#자존감#정신#칭찬#피드백#심리학#인간관계#행동#건강#임상심리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