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에서 ‘픽’ 쓰러질뻔”…실신이 잘 생기는 순간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9월 14일 13시 00분


코멘트
출근길 지하철이나 시험 전 긴장 상황에서 나타나는 ‘미주신경성 실신’에 대해 서울대 고상배 교수는 예방과 대처법을 상세히 밝혔다. (사진=게티이미지)
출근길 지하철이나 시험 전 긴장 상황에서 나타나는 ‘미주신경성 실신’에 대해 서울대 고상배 교수는 예방과 대처법을 상세히 밝혔다. (사진=게티이미지)
조회 시간, 출근길 지하철, 시험이나 발표를 앞둔 순간 갑자기 쓰러지는 사람들이 있다. 특별한 병이 없어도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가장 흔한 실신은 바로 ‘미주신경성 실신’이다.

■ 미주신경이 뭐길래?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고상배 교수는 “미주신경은 뇌에서 나오는 열두 쌍의 신경 중 10번째로, 몸 구석구석까지 길게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이 신경은 ‘길을 헤맨다’는 뜻의 이름처럼 여러 장기를 거치며 몸을 진정시키는 브레이크 역할을 한다. 하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혈압과 맥박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실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실신, 왜 하는 걸까?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실신은 뇌로 가는 혈액이 일시적으로 줄어 의식을 잃는 상태다.

원인은 다양하다. ▲ 운동 중 흉통이 나타나면 심장 질환, ▲ 발작이 동반되면 간질, ▲ 피부 두드러기, 호흡곤란이 나타나면 알레르기 반응, ▲ 꽉 끼는 넥타이나 셔츠 등 목 압력에 민감해 생기는 경동맥동 과민 실신 등이 있다.

반면 미주신경성 실신은 장시간 서 있기, 탈수, 스트레스, 공포, 피로 누적 등으로 잘 발생한다.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 미주신경성 실신이 잘 생기는 상황

- 장시간 서 있을 때(조회, 지하철 등)
- 시험·발표 전 긴장, 갑작스러운 놀람
- 채혈·주사 등 공포감을 느끼는 의료 시술
- 대소변, 식사, 음주 후
- 심한 통증, 피로, 더운 환경

■ 전조 증상과 대처 어떻게 해야할까?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미주신경성 실신은 갑자기 쓰러지기보다 전조 증상(▲ 식은땀, ▲ 시야 좁아짐,▲ 얼굴 창백, ▲ 메스꺼움, ▲ 어지럼증 등)이 먼저 나타난다.

이때는 바로 누워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면 빠르게 회복된다. 누울 수 없는 상황이라면 쪼그려 앉아 머리를 무릎 사이에 두는 자세도 도움이 된다. 회복 후에는 반드시 천천히 움직여야 한다.

■ 예방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고 교수는 “장시간 서 있는 출퇴근길이나 갑작스러운 놀람·공포 상황을 피하고, 채혈 같은 의료 시술은 누워서 진행하면 좋다”고 조언했다.

또 압박 스타킹 착용으로 다리에 혈액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염분 섭취를 늘리면 혈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개인차가 크므로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신은 흔하지만 대부분 안전하게 회복된다. 그러나 전조 증상 없이 쓰러지거나 회복이 늦으면 심장 질환, 간질, 알레르기 등 다른 질환일 수 있어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미주신경성 실신#지하철#눈 흐릿#서울대병원#고상배 교수#시험#예방#토#구토#탈수#스트레스#기절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