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치매 촉진제 역할” 미세먼지와 뇌 손상 첫 증거 나왔다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9월 14일 08시 00분


코멘트
미세먼지가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가속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00여 명 뇌 조직 분석에서 독성 단백질이 증가하며 기억력과 인지 능력이 더 빠르게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게티이미지)
미세먼지가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가속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00여 명 뇌 조직 분석에서 독성 단백질이 증가하며 기억력과 인지 능력이 더 빠르게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게티이미지)

미세먼지가 단순히 호흡기 건강에만 해로운 게 아니라 치매 진행을 빠르게 앞당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연구팀은 “대기오염이 알츠하이머병을 악화시키는 직접적 요인”이라고 밝혔다.

■ 미세먼지 1㎍ 늘 때 치매 손상 20% 심각

8일 국제학술지 JAMA Neurology에 실린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연구에 따르면, 연구진은 600여 명 사망자의 뇌 조직을 정밀 분석했다.

그 결과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 살았던 사람일수록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인 아밀로이드·타우 단백질이 더 많이 쌓여 있었다.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이 단백질은 신경세포 사이를 막고 엉켜 기억력과 사고 능력을 떨어뜨린다. 특히 미세먼지 농도가 1㎍/㎥ 증가할 때마다 뇌 속 독성 단백질은 17~20% 더 넓게 퍼졌고, 전반적인 치매 손상 정도도 19% 심해졌다.

■ 왜 미세먼지가 뇌에 영향을 줄까?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연구팀은 미세먼지가 폐 깊숙이 침투해 혈관을 타고 이동하면서 뇌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뇌세포 손상이 가속화돼 알츠하이머 증상이 빠르게 진행된다는 것이다.

또 환자들의 생전 임상 기록을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 노출이 많을수록 기억력·판단력·일상생활 능력 저하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 “환경 관리, 치매 치료 못지않아”

연구를 이끈 에드워드 리 박사는 “이번 연구는 대기오염이 치매와 직접 연결된다는 첫 뇌 조직 증거”라며 “약물 치료뿐 아니라 환경을 관리하는 것도 치매 예방과 악화 방지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세먼지#알츠하이머#치매#뇌 건강#독성#독#단백질#기억력#인지#뇌기능#신경과#병원#건강#미국#환경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