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서도 “장보기가 겁난다”,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괜한 엄살이 아니다. 연초부터 과자, 빵, 아이스크림, 커피, 햄버거, 컵밥까지 뭐 하나 안 오른 게 없어서다. 올 들어 불과 한 달 남짓 동안 가격을 이미 올렸거나 인상을 예고한 식품기업이 열 손가락에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롯데웰푸드·빙그레 같은 제과·빙과업체부터 오뚜기·대상 등 식품 제조업체, 파리바게뜨·버거킹 등 프랜차이즈, 스타벅스·폴바셋 등 커피 브랜드까지 품목을 가리지 않는다.
▷기업들이 내세우는 가격 인상의 배경은 원재료 비용 급등이다. 세계적인 이상 기후에 트럼프발 ‘관세 폭탄’ 화염까지 옮겨붙으면서 국제 농산물 가격이 치솟고 있는 건 사실이다. 커피 원두 가격은 브라질과 베트남이 극심한 폭염과 가뭄에 시달린 탓에 자고 일어나면 최고가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초콜릿 원재료인 코코아는 지난해에만 170% 넘게 급등해 “비트코인보다 더 올랐다”는 평가를 받는다. 수입 대두, 밀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여기에 원-달러 환율마저 1400원대가 뉴노멀이 되면서 기업의 비용 부담은 더 커졌다.
▷하지만 계엄·탄핵 정국의 혼란한 틈을 타 식품업계가 무더기로 가격 인상에 나섰다는 곱지 않은 시선이 쏟아지고 있다. 그동안 정부 눈치를 보느라 인상을 망설였던 기업들이 국정 공백이 두 달 넘게 이어지는 상황을 틈타 기습적으로 가격을 올렸다는 것이다. 지난해만 해도 농림축산식품부는 식품기업들을 수시로 소집해 가격 동결을 압박했고, 공정거래위원회는 제품 용량을 줄여 꼼수로 가격을 올리는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 과태료를 물리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그런데 올 들어서는 먹거리 가격 인상을 통제하려는 정부의 움직임을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지난해 12월 일부 식품기업이 가격을 인상했지만 어려운 국내 여건과 소비자 물가 부담 등을 고려해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은 당분간 없을 것으로 파악된다”는 게 1월 초 내놓은 농식품부의 보도자료다. 이러니 정부의 ‘물가 컨트롤타워’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의구심이 커질 수밖에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도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 릴레이가 이어진 바 있다. 당시에도 맥주, 커피, 라면, 치킨, 햄버거 등 품목을 가리지 않았다. 이 여파로 박 전 대통령 탄핵 시기인 2016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는 예년의 두 배 수준인 7.5% 뛰었다. 민간 기업에 밑지면서 장사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지만, 요즘 같은 내우외환의 경제 위기 상황에서 기업들도 고물가를 부추기는 가격 인상을 가급적 자제하는 게 옳다. 먼저 뼈를 깎는 원가 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하다 하다 안 될 때 가격을 올리는 것이 소비자들에 대한 예의다.
예전에 홍콩○점코 애슐○에서 은밀케 가격 인상을 했었는데, 명분이 강하니까 언론에서 알 수 있구나.
2025-02-10 14:51:42
한 명이 물가를 올리기 시작하는 걸 목격하면 그 옆 사람이 올리고 또 그 옆사람이 올리고 고물가 미국, 일본 안 쳐다보게 되고 ... 지역 소비자 물가란 것이 만들어지는데, 그 순간 '나는 가늘고 길게 살겠다' 반대로 물가를 내려서 일반재, 필수재를 박리다매 하는 경쟁 전략도 통하는 것이 시장이고, '오직 한국만 동맹들과 다르게 양적팽창, 빚잔치 하고 있다; 숫자는 큰데 대신 빚이 많다'는 신호인 물가 인상도 선거에 큰 변수죠.
2025-02-10 13:59:32
삭제된 댓글입니다.
2025-02-10 09:36:06
가격은 시장에서 경쟁으로 결정되는데 정부가 인허가로 통제하고 있어서 시장이 왜곡된거죠. 어쩌면 정부가 개입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가격은 내려갑니다. 대표적으로 쌀값은 1/5로 육류, 우유는 1/3로 기타 농수산식품도 전면 수입자유화 시키면 반값이면 가능합니다.
2025-02-10 09:15:04
정말로 횡설수설 하네.. 탄핵하고 가격 인상이 무슨 관계가 있나.. 다들 아는 환율로 인한 수입원료 가격 인상이 원인이지. 비즈니스는 자선 사업이 아니다.
2025-02-10 06:37:42
먹거리 가격 인상의 중심에 윤석열과 박근혜가 있었다? 동아일보야, 그렇게 쓰면 밥을 주는 네 주인에게 칭찬은 커녕 야단만 맞는다. 누가 저런 허접한 논리로 대통령을 원망하게 되겠냐.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25-02-10 06:37:42
먹거리 가격 인상의 중심에 윤석열과 박근혜가 있었다? 동아일보야, 그렇게 쓰면 밥을 주는 네 주인에게 칭찬은 커녕 야단만 맞는다. 누가 저런 허접한 논리로 대통령을 원망하게 되겠냐.
2025-02-10 09:36:06
가격은 시장에서 경쟁으로 결정되는데 정부가 인허가로 통제하고 있어서 시장이 왜곡된거죠. 어쩌면 정부가 개입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가격은 내려갑니다. 대표적으로 쌀값은 1/5로 육류, 우유는 1/3로 기타 농수산식품도 전면 수입자유화 시키면 반값이면 가능합니다.
2025-02-10 22:04:48
예전에 홍콩○점코 애슐○에서 은밀케 가격 인상을 했었는데, 명분이 강하니까 언론에서 알 수 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