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헌재 스포츠부장스트레스는 프로스포츠 감독의 숙명이다. 경기에서 지는 날은 당연히 스트레스가 크다. 이긴 날도 강도만 덜할 뿐 스트레스가 작지 않다.
지난 시즌 조상현 프로농구 LG 감독(49)도 예외가 아니었다. 의욕적으로 2024∼2025시즌을 시작했지만 팀은 시즌 초반 8연패의 늪에 빠졌다. 양준석, 유기상 등 젊은 피의 분전으로 반전에 성공해 챔피언결정전 무대를 밟았지만 더 큰 스트레스가 기다리고 있었다. SK와 치른 7전 4승제의 챔프전에서 처음 3경기를 이겼지만 이후 내리 3경기를 내주며 사상 첫 리버스 스윕의 위기에 빠졌다.
결과는 해피엔딩이었다. LG는 최종 7차전에서 승리하며 1997년 창단 후 28년 만에 첫 우승을 거뒀다. 조 감독은 경기 후 코트 위에서 굵은 눈물을 쏟아냈다. 이후 라커룸에 들어가서도 울었고, 혼자 남은 감독실에서도 울었다. 기쁨의 눈물인 동시에 그간의 마음고생을 씻어내는 눈물이었다.
스트레스로 가득한 승부의 세계에서 조 감독이 키우는 반려견 ‘조던(3)’은 큰 위안이 됐다. 조던은 코커스패니얼종 유기견의 새끼 중 한 마리였다. 미국프로농구(NBA)에서 ‘농구 황제’로 군림했던 마이클 조던의 이름을 땄다.
연고지인 경남 창원에 주로 머무는 조 감독은 서울 집에 올라올 때만 조던을 만난다. 조 감독은 “마치 아들 같다. (조)던이와 함께 있는 시간만큼은 스트레스 제로다. 이긴 날이건 진 날이건 언제든 반겨준다. 삶의 원동력 같은 존재다”라고 했다.
긴 시즌을 끝낸 후 조 감독은 조던과 꿈같은 시간을 보냈다. 경기 파주나 양주 등 강아지 운동장이 있는 곳에 조던을 데리고 가 함께 놀았다. 강아지 출입이 가능한 펜션으로 여행도 다녀왔다. 뜨거운 날씨를 피해 저녁에는 서울 남산으로, 월드컵공원으로 산책도 다녔다. 조 감독은 “조던이 우리 집에 온 후 내 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예전 비시즌에는 술 약속, 저녁 약속을 많이 잡았다. 하지만 요즘은 조던과 함께하기 위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졌다”며 웃었다. 그는 “유기견이라서 그런지 사람을 무서워하고 다른 강아지들과도 잘 어울리지 못하는 편”이라며 “그래서 더욱 함께 있어 주려고 한다”고 했다.
조 감독의 또 다른 스트레스 해소법은 운동이다. 은퇴 후에도 몸 관리를 게을리하지 않는 조 감독은 시즌 때는 오전 6시 전에 일어나 두 시간가량 운동을 한 후 체육관으로 출근한다. 자전거 등 유산소 운동 1시간, 근력 운동을 1시간 한다. 조 감독은 “하루 24시간 중 두 시간은 내 몸에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몸에 좋지도 않은 술은 몇 시간이고 앉아서 마시지 않나. 운동할 시간이 없다는 말은 핑계인 것 같다”고 했다.
선수 시절부터 ‘바른 생활’ 사나이였던 그는 한결같은 모습으로 지도자로서도 성공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그는 선수, 코치, 지도자로 모두 챔프전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세 번째 인물이다. 조 감독은 “코트에 있는 게 가장 즐겁지만 감독이란 자리 또한 영원할 수 없다”며 “어디에 있건 농구 발전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자 한다. 먼 미래에는 유소년들을 지도하는 꿈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