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행에 성공하는 영화의 결말은 권선징악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영웅이 악당을 물리치는 장면에서 속이 후련해지는 까닭은 우리 마음의 양심이나 정의감에 들어맞기 때문일 것이다. 많은 종교의 규율은 ‘반드시 해야 할 일’과 ‘하면 안 되는 일’을 선과 악으로 엄격하게 정한다. 예를 들면 성경에는 십계명이 있고 불교에서는 자비와 살생 금지의 계율이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타인을 수단으로 대하는 것이 악이며, 타인을 목적으로 존중하는 것은 선이라고 여겨진다.》
강용수 고려대 철학연구소 연구원그러나 선과 악에 대한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생각은 달랐다. 그의 저서 ‘도덕의 계보’는 맹금류인 독수리와 양의 비유를 통해 선과 악의 기원을 독특하게 밝힌다. 본래 자연에는 윤리와 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무법천지인 것이다. 따라서 독수리가 양을 잡아먹는 행위는 인간의 윤리적 판단의 대상이 아니다. 만약 살생을 악으로 금지한다면, 독수리는 굶어 죽을 수밖에 없다. 좋음에는 두 가지 대립된 개념이 있다. 좋음(good)은 한편으로 나쁨(bad)의 반대말이자 악함(evil)의 반대말이기도 하다. 나쁨과 악함에도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기분 상태를 두고 ‘기분이 좋다’ ‘기분이 나쁘다’고 표현하지 ‘기분이 좋다’ ‘기분이 악하다’고 하진 않는다. 병원에서 환자를 진찰할 때도 마찬가지다. ‘건강이 나쁘다’고 진단하지 ‘건강이 악하다’고 하지 않는다. 위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위장 기능 이상을 살펴보지만, 과식을 부른 식탐을 ‘악’으로 탓하지 않는다.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는 선과 악의 기원을 독수리(위쪽 사진)와 양에 비유해 설명했다. 니체는 양을 사냥해 생존을 이어가는 독수리를 악한 존재로 인식하는 건 생존의 위협을 받는 양의 시점에서 강자를 악으로 낙인찍어 약자를 선한 존재로 포장하려는 자기기만이라고 분석했다.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니체는 좋음을 독수리와 양에 비유해 설명했다. 독수리는 양을 잡아먹는 포식자이며, 양은 자신을 공격하는 독수리를 두려워한다. 독수리는 양의 육즙이 풍부한 경우에는 맛이 좋다고 판단하고, 고기가 질기다면 맛없다고 여길 것이다. 그런데 양을 잡아먹는 독수리가 ‘좋다’ ‘나쁘다’라고 판단할 수 있을까. 잡아먹히는 양은 먹이사슬에서 볼 때 당연한 희생을 거부하고 꾀를 부려 독수리를 이길 방법을 궁리한다. 양은 자신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선과 악이라는 윤리적 판단을 만들어낸다. 양이 생각하는 좋음과 악함은 강자인 독수리에 대한 원한에서 비롯되며 공포의 대상인 강한 자들이 나타나지 않기를 바라는 갈망에서 유래한다.
여기서 윤리적 주체라는 개념이 상상력에 의해 덧붙여진다. 니체는 주체와 작용을 분리한다. 중립적인 존재인 주체는 행위를 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책임을 지게 된다고 주장한다. 즉, 독수리는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주체이기 때문에 양을 해치지 않을 수 있는 자유를 갖는다. 때문에 독수리는 양을 해치는 경우 윤리적 책임을 피할 수 없다. 선과 악이라는 잣대로 독수리에게 윤리적인 구속을 덧씌우면 독수리가 양을 잡아먹는 일은 더 이상 없다.
니체는 독수리가 양을 낚아채 가거나 해치지 않기 위해 고안된 거짓말을 ‘화폐 위조’에 비유해 비판한다. 그는 도덕의 이상이 어떻게 제조되는지 묻는다. 양들은 복수심에 불타 간계(奸計)를 발휘해 더 이상 독수리와 같은 악한 존재가 아닌 선한 존재가 되고자 한다. 겉과는 달리 마음속에는 강한 독수리를 이길 수 없다는 ‘무력감’과 ‘복수심’이 가득 차 있다. 양은 독수리를 공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신의 무능력을 ‘선’으로 포장한다. 공격하지 못하는 행위가 선한 것이 되면서 자신이 마치 전쟁을 하지 않는 평화주의자, 정의로운 자인 척한다. 양이 생각하는 ‘선한 존재’는 ‘능욕하지 않는 자’, ‘상처 주지 않는 자’, ‘공격하지 않는 자’, ‘보복하지 않는 자’로 여겨질 뿐만 아니라 겸손하고 공정한 자이다. 따라서 인내, 겸손, 공정은 약자인 자신의 덕목이다.
‘약한 것이 공적(덕)’으로, ‘보복하지 않는 무력감’은 ‘선’으로 바뀐다. 불안한 천박함이 ‘겸허’로 바뀌며, 복종은 명령하는 신에 대한 ‘순종’으로 바뀐다. 그뿐만 아니라 약자의 비공격성, 비겁함, 기다림이 ‘인내’라는 미덕으로 탈바꿈된다. 마땅히 복수해야 할 것에 대해 복수하지 못하는 것을 ‘용서’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자신이 독수리보다 더 훌륭하며 강해진다는 것은 거짓말이자 상상의 결과다. 약자는 힘이 없는 자들이 만들어낸 가치체계 ‘노예 도덕(Slave Morality)’이라는 은밀한 방식을 통해 언젠간 독수리를 이기고자 한다. 물리적인 힘으로는 도저히 압도할 수 없는 강자를 자신이 꺾었다고 믿는 것은 ‘정신 승리’에 불과하다. 타자는 악하고 자신은 선하다는 노예 도덕의 거짓 정당화를 이끌어 내는 바탕에는 강한 자의 덕을 제대로 인정하지 못하는 원한이 크게 작용한다.
니체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인류 역사상 두 개의 대립되는 가치 평가는 ‘좋음과 나쁨’ 그리고 ‘선과 악’이다. 니체는 책의 제목과 관련해 ‘선과 악’이라는 가치의 대립을 넘고자 하였을 뿐 ‘좋음과 나쁨’ 자체를 없애려는 의도는 없다. 니체가 문제 삼는 것은 타인을 악으로 규정하려는 우리 안의 원한과 증오다. 강한 자를 악으로 낙인찍음으로써 자신을 선한 약자로 포장하려는 자기기만을 경계한 것이다. 독수리가 악하다는 판단은 ‘양’의 상상일 뿐이다. 이처럼 악은 실재하지 않는 ‘뇌피셜’인 경우가 많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