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추적 비 내리는 밤에 찾아온 도둑, 시인은 그를 내치기에 앞서 시 한 수를 읊는다. 차근히 타이를 뿐 질타도 위협도 하지 않는다. 대문으로 나갈 테면 우리 개 놀라게 하지 말고, 담장을 넘을 거면 난초 화분을 조심하라는 당부가 생뚱맞다. 시인은 서화를 팔아 생계를 꾸릴 만큼 세간에 명성이 자자했지만 삶은 궁핍했다. 학식은 넘쳐날지언정 수중엔 땡전 한 푼 없다는 그의 말은 해학이면서 자조일 테다. 그럼에도 그는 도둑을 몰아세우지 않고 차라리 부잣집을 찾아가라며 돌려 말한다.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자세와 약자에 대한 연민, 이런 게 개결(介潔)한 선비의 풍모가 아니겠는가.
집안에 도둑이 들자 시인이 실제 이 즉흥시를 날렸는지, 아니면 개와 난초만은 온전하기를 바라면서 조바심 속에 한 번 공상해 본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하나 시인의 푸근한 배려심만은 확실해 보인다. 채찍이 아니라 작은 등불 같은 목소리로 울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