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장관 후보자 16명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18일로 끝났다. 하지만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 불가 여론이 여권과 야권을 가리지 않고 확산되고 있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여론이 가라앉지 않는 후보자도 있다”며 이 대통령에게 상황을 보고한 뒤 주말에 거취 문제가 결론 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이 ‘1명 플러스 알파’를 자진 사퇴 형식으로 물러나게 하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하지만 길게 검토할 것 없이 두 후보자에 대해서는 이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하는 것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결정이다.
두 후보자가 모두 도덕성은 물론 자질이나 역량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는 사실은 사전 검증 및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이미 충분히 입증이 됐다. 이 후보자는 ‘이공계 관행’ 운운하며 자신이 연구과제를 수주했기 때문에 제자들이 실험해 논문을 썼더라도 자신이 논문의 제1저자가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했지만, 이공계 교수들조차 ‘그런 관행은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더욱이 이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교육행정의 기본에 속하는 사항에 대해서도 전혀 답변을 하지 못하는 등 교육부총리로서 업무 역량에 심각한 의문을 갖게 했다.
보좌관에게 자택 쓰레기를 버리라거나 변기 수리를 지시했다는 강 후보자의 갑질 의혹은 장관 후보자의 언행이라 부르기도 민망할 수준이다. 더구나 강 후보자는 쓰레기를 버리라고 직접 지시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지만 이후 쓰레기 처리 지시가 담긴 문자 내용이 공개되는 등 거짓 해명 논란에까지 휩싸였다. 여성과 청소년 등 사회적 약자를 보살펴야 할 여성가족부 장관으로서는 중대한 결격 사유가 아닐 수 없다.
두 후보자의 임명에 대해서는 여당 일부와 보좌진 단체는 물론이고 참여연대와 전교조 등 친여 성향 단체까지 일제히 반대하고 있다. 일반적인 국민 여론은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낙마는 없다”며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강행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여당이 민심을 정확히 전달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국민의 목소리가 국정의 출발점”이라며 소통을 강조해 왔다. 야당과 만나고, 기자회견을 여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 소통이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국민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읽고, 때로는 그것이 정치적으로 불리하거나 원하지 않는 방향이라도 과감히 수용하는 것이 ‘진짜 소통’이다. 역대 정부마다 인사에 대한 민심 악화를 외면하다가 국정 부담을 자초하는 일이 많았다. 이 대통령이 집권 초부터 그런 실패를 답습해서는 안 된다. 대선 때 “국민을 이기는 권력은 없다”고 한 이 대통령이다.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는 것만이 이재명 정부 5년을 성공으로 이끄는 길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