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계엄 직후 한덕수와 통화…‘불법적 강행’ 알고 있었다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11일 15시 32분


코멘트

조경태 “국무위원들 반대 알고도 해제 적극적이지 않았던 점 심각”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지난 5월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 도착해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하기 위해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과 함께 소통관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지난 5월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 도착해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하기 위해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과 함께 소통관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및 외환 의혹 등을 수사 중인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11일 비상계엄 당일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한덕수 당시 국무총리 간 전화 통화한 내역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특검의 참고인 신분 조사를 받은 뒤 “지난해 12월 3일 밤 11시 12분경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가 7분 이상 통화했던 게 나왔다”고 언급한 데 대해 “당시 (해당 통화가) 있었던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앞서 조 의원은 이날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서 4시간가량 특검의 조사를 받고 나오며 “당시 한 전 총리가 국무위원들이 (계엄을) 반대했는데 윤 전 대통령이 강행했다는 이야기를 추 전 원내대표와 통화했던 게 나와 있다”고 했다.

이어 “한 전 총리가 국무위원들이 반대했다고 말했기 때문에 원내대표는 불법성과 위헌성에 대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라며 “계엄에 대해 알고도 당사로 가는 등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해제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점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선포 직후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은 있지만 한 전 총리와 연락한 기록이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검은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 당시 상당수 국민의힘 의원이 참석하지 못한 배경에 윤 전 대통령과 추 전 원내대표 등 지도부가 관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계엄 선포 이튿날인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표결에는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조 의원을 포함한 18명만 참석했다.

특검은 이날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김 의원은 계엄 해제 결의안 당시 표결에 참석하진 못했지만, 며칠 뒤인 7일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는 찬성표를 던진 바 있다.

박 특검보는 조사 대상과 관련해 “사안의 진상을 밝히는 데 있어서 당시 국회 상황을 알 수 있는 분들은 모두 조사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실제 고발된 분들은 피의자 신분”이라며 “실질적으로 누가 처벌돼야 하는지는 사실관계 확정이 돼야 할 듯하다. 현재는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단계이고, 구체적으로 몇 명인지 정해져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특검은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노 전 사령관은 앞서 4일 ‘불특정 제3자’의 내란 방조 혐의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받았는데, 이날도 관련 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특검은 노 전 사령관이 특정 중요 시기마다 누군가와 통화한 것을 포착하고, 해당 인물을 특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특검보는 “(노 전 사령관이) 당시 조사에 잘 협조해서 진술이 잘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다. 이날 조사도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내란 특검#윤석열 전 대통령#추경호#국민의힘 원내대표#한덕수 전 국무총리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