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트럼프’ 숙제 들고 휴가 간 李대통령…한미 정상회담 대비

  • 뉴스1

코멘트

휴가 중에도 국정현안·외교안보 협의 등 실시각 보고
‘방위비 청구서’ 대응전략 골몰…8월 중하순 방미할 듯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 식당에서 강훈식 비서실장을 비롯한 참모진들과 점식식사를 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SNS) 2025.8.1. 뉴스1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 식당에서 강훈식 비서실장을 비롯한 참모진들과 점식식사를 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SNS) 2025.8.1. 뉴스1
취임 두 달을 맞은 이재명 대통령이 첫 하계 휴가에 돌입했다. 이 대통령은 민생 현안과 더불어 이달 중하순으로 예상되는 한미 정상회담을 준비하며 차분히 하반기 정국 구상에 골몰할 것으로 보인다.

3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하계 휴가를 가진다. 주말을 포함해 일주일가량 대통령 별장인 ‘청해대’가 있는 거제 저도에서 머물 예정이다.

‘워커 홀릭’ 이 대통령은 비상계엄 이후 계속되는 민생고 등 엄중한 국정 상황을 감안해 하계 휴가를 반납하는 방안도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참모진을 비롯한 공무원 휴식 보장과 함께 소비쿠폰 사용 등 경기활성화 메시지를 위해 휴가를 떠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공식 일정 없이 독서와 영화 감상 등 재충전을 시간을 가질 것이라고 전했지만, 이 대통령은 휴가 기간 중에도 주요 상황보고를 받으며 국정을 챙길 예정이다.

특히 관세 협상 후속 조치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 상황 등을 수시로 보고받을 것으로 보인다.

관세 협상이 타결됐지만 한미 양국은 농산물 개방 여부에 관한 설명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아울러 3500억 달러 규모의 펀드 투자금과 관련해서도 실투자금액을 두고 세부 조율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관세협상 후속 사안과 더불어 안보 관련 이슈가 주요하게 다뤄질 전망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협상에선 다뤄지지 않은 △방위비 분담금 인상 △국방비 인상 △국방비 인상 폭 등 국방·안보 관련 청구서를 내밀 것이란 관측이 높은 상황이다.

이와 함께 북한 핵·미사일 위협 공동대응 및 한미일 삼각 군사협력, 대중국 강경 대응 기조에 따른 한미 협력 관계 설정 등 간단치 않은 난제들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협의해야 한다.

대통령실 핵심관계자는 “안보와 관세 전체 패키지를 조정해서 관세협상을 마무리 지었지만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 관세협상은 대충 (패키지 딜의) 틀을 만든 것”이라며 “포커스는 이제 안보 협상으로 넘어간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은 이르면 8월 셋째 주, 양국 조율 여하에 따라선 광복절 행사와 국민임명식이 이뤄지는 8월 15일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은 휴가 기간 대미 협상 전략을 가다듬는데 집중할 전망이다. 예측하기 힘든 트럼프 성향을 감안한 다양한 협상 시나리오를 상정해 예행연습을 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안보 이슈는 정상회담에서 성과가 나올 수도 있지만, 그 이후에도 협의가 이어질 수 있다”며 “(패키지 딜)흐름 속에서 여러 안보 이슈들이 나올 수 있고, 그 협의들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미국의 대중국 전략과 북미 관계 설정과 관련해선 “(우리 측은)중국이 겨냥점은 아니다. 시대 환경 변화에 따라 미국이 주문하는 게 있고, 우리는 우리 나름대로 한반도와 그 주변의 안보 여건 변화를 감안해 그것을 반영해야 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동맹 현대화’로 포괄되는 주한미군 역할 조정 문제 등과 관련해선 “미국 내 여러 관점에 따른 논의가 있는 것으로, 우리와 잘 조율을 해봐야 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우리대로 그 접점을 찾아나가야 한다”고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