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 이륙 뒤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공군 1호기 기내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08.25 대통령실사진기자단/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친중 아니냐? 외교에서 친중 혐중이 어디 있습니까. 대한민국 국익에 도움이 되면 가깝게 지내는 것이고, 국익에 도움이 안 되면 멀리하는 거죠.”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 시간) 일본 도쿄에서 출발해 미국 워싱턴으로 향하는 대통령 공군1호기에서 ‘미국 일각에서 이 대통령이 친중 아니냐는 이미지가 있단 지적도 있다’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대통령은 “가까우냐, 머냐도 외교적 수단 중 하나 아니냐. 그래서 저는 천편일률적이지 않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외교의 기본은, 근간은 한미동맹이다”며 “우리가 자본주의 시장의 체제에 있기 때문에 이 가치와 질서, 시스템을 함께 하는 쪽과의 연합 협력이 당연히 중요하다. 한미일 안보 경제 협력이 당연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다고 중국과 절연할 거냐, 절연하고 살 수 있느냐”며 “절연 안 하는 걸 친중이라고 한다면 그런 의미의 친중이라면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어느 국가와 관계가 좋기 위해서, 어느 국가를 완전히 배제되거나 절연해서 적대적 관계로 전환할 필요는 없는 것”이라며 “근간은 한미동맹, 한미일 동맹이 매우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다른 중요한 국가의 관계를 단절하거나 적대화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판단 기준에 대해 국익이고 국민의 삶의 조건이라며 “친중, 친북, 친러, 잘하면 친공, 공산주의 나올지도 모르겠는데, 그런 데 너무 연연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대한민국은 특정 몇몇 국가와만 외교해서는 살 수가 없는 나라”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