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공장 한국인 구금]
외교부 “美측 사정”이라고만 밝혀
대통령실 추후 대응 방안 등 논의
미국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의 석방 및 귀국이 미국 측 사정으로 돌연 지연되면서 정부에선 당혹스러운 기류가 감돌았다. 11일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 예정된 가운데 구금된 국민들의 무사 귀국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 것.
미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체포·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은 자진 출국 형식으로 석방된 뒤 현지 시간으로 10일 오후 2시 반(한국 시간 11일 오전 3시 반)을 전후해 정부가 준비한 전세기를 타고 현지 공항을 출발할 예정이었다.
이 대통령은 10일 오후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를 주재하던 도중 쪽지를 통해 귀국이 지연된다는 사실을 보고받았다고 한다. 행사 직후 이 대통령은 집무실에서 국가안보실로부터 구체적인 상황을 추가로 보고받고 추후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국민 안전의 최종 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 큰 책임감을 느낀다”며 “관계 부처는 모든 분들이 안전하게 돌아오실 때까지 상황을 계속해서 세심하게 관리해 주시기 바란다”고 지시한 바 있다.
정부는 7일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 “구금된 근로자 석방 교섭이 타결됐다”며 “행정 절차가 남아 있고, 절차가 끝나는 대로 전세기가 우리 국민들을 모시러 출발할 예정”이라고 밝히는 등 구금자들의 신속한 귀국에 집중해 왔다. 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 등이 남은 가운데 이번 사태가 한미 관계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방점을 찍은 것. 하지만 구금자를 태우고 돌아올 전세기가 미국에 도착한 가운데 돌연 이들의 귀국이 연기되면서 사태 해결이 지연되면 파장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외교부는 “10일 출발은 미 측 사정으로 어렵게 됐다”고만 밝혔을 뿐 정확한 사유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비교적 원만하게 협상이 이뤄진 편이었는데 갑작스럽게 중단돼 우리도 당혹스러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