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민당국이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공동으로 건설 중인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 소재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을 급습해 불법체류자 혐의가 있는 450여명을 체포했다. 체포된 이들 중에는 출장간 한국인 30여명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TF 애틀랜타 X 계정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2025.9.5/뉴스1
국민의힘은 6일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대규모 불법체류자 단속으로 한국인이 대거 체포된 사태와 관련 “700조 원 ‘선물 보따리’를 안긴 지 불과 11일 만에 뒤통수를 맞았다”며 “이게 이재명식 실용외교인가”고 공세를 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한미 정상회담(8월 25일) 이후 불과 11일 만에 벌어진 초유의 사태로 한국과 미국 ‘제조업 동맹의 상징인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일이라 그 사태가 더욱 심각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미국 당국은 5일(현지시간) 조지아주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전날 벌인 불법체류자 단속과 관련해 475명을 체포했으며 이중 다수는 한국 국적이라고 발표했다.
박 대변인은 “체포된 인원 가운데 한국인이 약 3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민적 충격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기존 3500억 달러 대미 투자에 더해 1500억 달러의 직접 투자까지 약속하며 총 5000억 달러(약 700조 원)라는 ’선물 보따리‘를 미국에 안겼다”고 했다.
그는 “그러나 회담은 공동성명조차 발표하지 못한 채 끝났고 그 결과가 고스란히 현대차-LG 합작 공장 단속 사태로 돌아왔다”며 “국민들 사이에서는 실컷 투자해주고 뒤통수 맞은 것 아니냐는 분노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대변인은 “이재명 정부의 외교 참사는 이게 끝이 아니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산 자동차·부품 관세를 27.5%에서 15%로 인하하는 행정명령에 이미 서명했지만 세부 협상이 지연되면서 한국산 자동차에는 여전히 25%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그 결과 한국 기업은 미국 시장에서 일본보다 불리한 경쟁 환경에 놓였다”고 했다.
그는 “700조 원에 달하는 투자를 약속해놓고도 국민의 안전도 기업 경쟁력 확보도 실패한 것이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금이라도 사태의 전모를 명확히 파악하고, 체포된 우리 국민의 안전을 철저히 보장하며,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서 부당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실질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