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국회 운영위원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 국회(정기회) 국회운영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9.24/뉴스1
“김현지 총무비서관은 절대 불러서는 안 되는 존엄한 존재입니까.”(국민의힘 유상범 원내운영수석부대표)
“(김 비서관을) 정쟁의 도구로 삼으려고 하는 것이고, 국민의힘 의도에 동조할 수가 없다.”(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
여야는 24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현지 대통령총무비서관이 국정감사 기관증인 명단에서 빠진 것을 두고 격돌했다. 국민의힘은 국회 관례대로 김 비서관이 운영위 국정감사에 기관증인으로 출석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민주당은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 출석하는 만큼 김 비서관이 출석하지 않아도 된다고 맞섰다. 김 비서관은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운영위 야당 간사인 유 수석부대표는 증인 명단에서 김 비서관이 제외된 데 대해 “14대 국회 이후에 총무비서관이 단 한 번도 증인에서 제외된 적이 없다”며 “총무비서관이 인사와 예산을 총괄하는 핵심 자리이기 때문에 항상 (국정감사에) 참여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비서관을 국회에 보내지 않음으로써 30년간 진행됐던 전통을 다수당이라는 이유로 일방적으로 배제하려는 건 뭔가 숨기는 게 있기 때문에 출석을 안 시키려고 한다는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민주당이 용산 대통령실의 2중대나 출장소가 아니지 않느냐”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조지연 의원도 “1987년 민주화 이후 모든 정부의 총무비서관이 다 나왔다”며 “인사와 재정, 행정 전반을 관리하는 총무비서관이 당연히 있어야 제대로 된 국감이 진행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운영위 여당 간사인 문 수석부대표는 “보통 정부 (출범 후) 6개월은 허니문 기간으로, 정부에 협조적인 게 그동안 관례였다”며 “김 비서관보다 더 많은 권한을 갖고 있는 게 대통령실비서실장 아닌가. 대통령비서실장한테 따져 물어도 충분히 국정감사에 지장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가 국민을 위해 더 많은 성과를 내겠다면서 정부조직법을 여당과 추진하고 있는데 국민의힘은 정부조직법 개편에 대해 협조는커녕 필리버스터를 예고할 정도로 사안마다 발목을 잡고, 정쟁을 하고 있다“며 ”그토록 (국민의힘이) 요구한다면 정부조직법 처리에 협조하라. 그러면 (김 비서관을) 부를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원내대표인 김병기 운영위원장은 여야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여야 간사 간에 좀 더 협의를 하라”라며 “오늘 의결하지 않고 다음에 의결하는 것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운영위는 이날 이날 국정감사계획서만 의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