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코앞서 구축함 좌초에 “용납못할 범죄” 피바람 예고
오늘 오전 동해로 최소 2발 발사…軍 분위기 쇄신 노린 듯
북한이 22일 오전 순항미사일 여러 발을 발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이 21일 북한 청진항에서 실시한 5000t급 규모 신형 구축함을 진수하는 데 실패했다고 밝힌 가운데 이를 만회하고 분위기를 쇄신하는 차원에서 순항미사일을 쏜 것일 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22일 오전 순항미사일 최소 2발 이상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건 공개된 사례를 기준으로 이달 8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여러 발을 발사한 이후 14일만이다. 군 당국은 이번 순항미사일 발사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는데, 통상 군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대상인 탄도미사일에 한해 이를 발사할 경우 공개하고 있다. 순항미사일의 경우 발사한 미사일 수가 많은 등 특이 사항이 있을 경우에 한해 공개한다.
북한의 5000t급(최현급) 신형 구축함. 평양 노동신문=뉴스1
특히 22일은 북한이 노동신문 등 관영매체를 통해 이례적으로 전날인 21일 동해 청진항에서 실시된 5000t급 신형 구축함 진수가 실패한 사실을 공개한 날이어서 실패 사실을 언론에 공개함과 동시에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배경에 관심이 증폭됐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가한 가운데 대대적으로 진행됐던 구축함 진수가 실패로 돌아가고, 김 위원장이 이를 직접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심각한 중대 사고이며 범죄적 행위”라고 질타하는 등 북한 군내 분위기가 어수선해지자 군 내부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순항미사일을 발사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북한은 그간 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하는 등 국제사회가 위성 등으로 실시간 밀착 감시하고 있어 공개하지 않을 수 없는 실패 사례에 한해 공개해 왔다. 함정을 포함해 특정 무기 체계와 관련한 실패 사례를 공개한 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 소식통은 “이번 진수 실패를 공개한 건 군 내부 기강 잡기로 풀이되며 이와 동시에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건 북한의 미사일 전력만큼은 안정적이라는 점을 과시해 실패를 만회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해상 전력 강화를 위해 공을 들이던 구축함 진수에 실패했고, 배가 바다에 쓰러져 있는 모습이 한미 정찰자산 등에 포착되는 등 망신을 당한 만큼 이를 만회하기 위해 탄도미사일 등의 추가 발사를 향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내부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