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의 ‘통일교 청탁 의혹’ 당사자로 알려진 건진법사 전성배 씨가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 사무실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2025.08.18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나 때문에 여러 사람이 고초를 겪는 상황을 견딜 수 없다. 구속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건진법사’ 전성배 씨는 21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구속 전 피의자 심문(구속영장실질심사)을 포기하며 이런 심경을 변호인에게 밝혔다고 한다. 통일교 현안 청탁과 공천, 이권에 개입한 의혹 등을 받는 전 씨가 구속되면서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은 ‘김건희 집사’ 김예성 씨,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 등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에 연루된 ‘키맨 4인방’의 신병을 모두 확보했다.
구속 후 이 전 대표는 김 여사와의 대질 신문을 요구하고 있고, 윤 전 본부장은 “통일교 윗선의 지시로 청탁이 이뤄졌다”며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털어놓고 있다. 구속된 전 씨가 김 여사에게 전달됐다는 샤넬백 등 고가 명품의 행방에 대해 새로운 진술을 내놓을 지 주목된다.
● 김건희 ‘4대 키맨’ 전부 구속
이날 오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전 씨의 구속영장실질심사는 전 씨가 출석하지 않아 8분 만에 종료됐다. 법원은 이날 전 씨에 대해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전 씨는 2022년 4~7월 윤 전 본부장으로부터 통일교 현안 청탁을 대가로 6220만 원 그라프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총 2000만 원 상당의 샤넬백 2개 등을 건네받아 김 여사에게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그간 전 씨는 “(윤 전 본부장에게 금품을) 받은 건 맞지만 모두 잃어버렸다”고 주장해 왔다. 전 씨는 이날 언론에 “목걸이는 잃어버렸다”고 재차 주장했고, 김 여사 측이 샤넬백을 신발로 바꿨다는 지적에 대해선 “조사 중이라 말하기 어렵다”고만 했다.
일각에선 전 씨가 구속되면서 특검 조사에 협조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억대의 명품을 김 여사에게 전달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되면 특검 수사에 한층 속도가 붙을 수 있다.
또 다른 키맨인 이 전 대표는 5일 구속된 뒤 특검 조사에서 “김 여사와 대질 신문하고 싶다”고 요청하기도 했다. 그는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당시 20억 원이 든 김 여사 계좌를 관리했다. 기업들이 보험성 투자를 했다는 ‘집사 게이트 의혹’ 수사가 본격화되면 15일 구속된 김예성 씨도 진술 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2023년 말 김 여사가 김 씨에게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실 조사를 받으라’고 먼저 전화했고, 당시 대통령실이 별다른 조치 없이 조사를 종결한 과정도 특검이 들여다볼 것으로 보인다.
● 金, 또 진술 거부…23일 다시 조사
김 여사는 이날 오후 2시 12분부터 5시 30분까지 3시간 넘게 이어진 조사에서도 진술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김 여사를 상대로 통일교 측으로부터 각종 명품 등을 받은 대가로 통일교 현안 7가지 등에 관해 영향력을 행사한 사실이 있는지 추궁했다. 특검이 준비해 간 질문지 분량만 100페이지에 달했다고 한다.
김 여사가 구속 후 이뤄진 2차례 조사와 마찬가지로 버티기 모드를 유지하면서 유의미한 진술은 확보하지 못했다. 특검은 김 여사를 23일 오전 10시 다시 불러 통일교 청탁 의혹을 조사하기로 했다. 한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는 “일개 브로커급이라고 볼 수 있는 전 씨가 ‘내 죗값을 받겠다’고 나오고 있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은 특검 수사와 재판을 모두 보이콧하고 김 여사는 모르쇠 모드로 수사에 저항하고 있는 것은 적절치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및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채 상병 특검(특별검사 이명현)은 수사 기간을 30일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채 상병 특검의 수사 기한은 9월 29일까지 늘어나게 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