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조직 개편 구상]
“다른 나라들 대응 방식-결과 봐야”
‘반도체 세액공제’ 등 첫 본선 공약
하이닉스 방문… 52시간제 답 피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왼쪽)이 28일 오후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에서 ‘K-반도체’ AI메모리반도체 기업 간담회를 위해 만나 대화하며 이동하고 있다. 2025.4.28/뉴스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8일 본선 첫 공약으로 반도체특별법 제정과 반도체 생산 세액공제 등을 핵심으로 하는 반도체 공약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반도체특별법을 신속하게 제정하겠다”며 “반도체 경쟁력 확대를 위해선 국가 차원의 지원과 투자가 필수”라고 했다. 이 후보는 “국내에서 생산 판매되는 반도체에는 최대 10% 생산세액공제를 적용해 반도체 기업에 힘을 싣겠다”며 반도체 세제 혜택 강화도 공약했다. 이 후보가 2월 현대자동차 간담회에서 처음 언급한 국내 생산세액공제는 ‘한국판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제조 기업의 국내 생산 유인을 늘려 제조업 공동화를 막는 방안이다.
이 후보는 또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신속하게 조성하겠다”며 “2030년까지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를 완공해 반도체 기업들의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달성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엔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를 찾아 관련 기업들과의 간담회를 열고 전력난 등 업계 애로 사항을 들었다. 이 후보는 이날 주 52시간제 도입 여부를 묻는 질문에 “논쟁적 이슈보다는 기반 시설 확보나 세제 지원 등 당장 업계가 필요로 하는 것들을 먼저 해결할 필요가 크다”며 답을 피했다. 이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 “좀 시간을 갖고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결국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그 결과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아직 정부가 안정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충분히 명분 있는 일”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