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국무총리와 국정원장, 대통령 비서실장 등 인선 발표를 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대통령은 4일 한일 관계에 대해 “협력할 건 협력하고, 정리할 건 정리하되 가능하면 현안을 뒤섞지 않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인선 발표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일본 취재진이 ‘일본과의 관계와 과거사 문제 해결 방안’을 묻자 이같이 답했다. 그러면서 “실용적인 관점에서 서로 도움이 되는 건 추진하고, 피해가 되는 건 피하되 이해관계를 조정해 가며 적정한 선에서 타협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정부의 강제징용 문제 해결 방안을 그대로 진행할 것인가’라는 일본 기자의 질문에는 “강제징용 문제에는 위안부 문제까지 포함될 수 있겠는데, 국가 간 관계는 정책의 일관성이 특히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국가 간 신뢰의 문제가 있다. 국가 정책을 개인적 신념 같은 것으로 일방적으로 강요하거나 관철하기는 쉽지 않다”며 “그것이 현실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상인의 현실감각, 서생의 문제의식’ 두 가지를 다 갖춰야 훌륭한 정치인이 될 수 있다고 했는데 한일 관계도 그러한 실용적인 관점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1998년 일본 정부가 과거사에 대한 통절한 반성과 사죄를 언급한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거론하며 “한일 관계에 관해 아주 바람직한 합의가 있었다. 가급적이면 그런 국가 간 합의도 지켜지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가 간 관계도 개인적 관계와 다르지 않다”며 “진지하게 본심으로 인정할 건 인정하고, 사과할 건 사과하고, 경쟁할 건 경쟁하는 합리적인 관계가 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관계 전반을 두고는 “안타깝게도 과거사 문제와 독도 영토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으나 여러 가지 면에서 공통의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며 “경제, 안보, 기술 문제, 문화 교류 등 쌍방에 도움 되는 것들을 충분히 찾아낼 수 있다. 그렇게 해야 서로 도움이 되는 선린 우호 관계, 공동 번영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