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6일 김건희 소환…도이치-공천개입-통일교 의혹 우선 조사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5일 20시 35분


코멘트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2025.6.3/사진공동취재단
‘사상 첫 영부인 공개 조사’를 앞둔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은 총 16개에 달하는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된 김건희 여사를 6일 불러 조사하면서 각종 의혹의 실체를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특검은 그물망처럼 얽히고설킨 ‘키맨’들에 대한 수사를 통해 확보한 진술과 증거를 토대로 김 여사의 답변을 끌어내 마지막 퍼즐을 맞춘다는 계획이다. 김 여사 측은 진술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는 등 조사에는 협조한다는 방침이지만 자신을 둘러싼 혐의에 대해선 전면 부인할 것으로 알려졌다.

● 특검 “의혹 정점” VS 金 “기억대로 말할 것”

김 여사가 피의자 신분으로 이날 오전 10시 특검에 출석하면서 자신을 둘러싼 각종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밝히거나 대국민 사과를 할 지도 주목된다. 특검은 김 여사가 건강 악화를 이유로 휠체어를 타고 출석하는 상황도 대비했지만, 김 여사는 이날 직접 걸어서 특검 사무실로 들어갈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비상계엄 국면 이후 김 여사는 병원 치료 외엔 공개 행보를 삼간 채 칩거해 왔다.

특검은 김 여사에 대해 별도 예우없이 일반 피의자처럼 조사하기로 했다. 오정희 특검보는 5일 브리핑에서 “(그동안 관행적으로 해왔던) 티타임 등은 예정돼 있지 않다”며 “통상의 절차에 따라 법과 원칙에 따라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여사 측은 지난달 제출한 의견서에서 ‘한 번에 장시간 조사받을 건강 상태가 아니다’는 이유로 특검에 혐의별로 조사 날짜를 나누거나 오후 6시 전 조사 종료 등을 요구했다. 특검은 이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조사하겠다”고 일축했다.

다만 본인이 동의해야 오후 9시 이후 심야 조사를 할 수 있는 인권보호수사준칙에 따라 수사 종료 시점은 김 여사 측의 동의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여사 측은 조사 당일 상황에 따라 심야 조사 여부를 정하기로 했다. 특검은 김 여사에게 적용된 혐의가 워낙 방대해 추가 조사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특검은 첫 조사에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명태균 씨와 관련된 공천개입 의혹,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해 고가의 샤넬백과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수수하고 통일교 현안 등을 청탁받았다는 의혹 등 이미 관계자 조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된 혐의들을 우선 조사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김 여사 측은 “경험한 것을 있는 그대로, 기억나는 대로 모두 진술할 것”이라며 “판단은 특검이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혐의에 대해 김 여사는 “주가조작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 “공천개입은 일부 의견을 전달한 수준”이라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 381일 만에 조사받는 金, 영부인 공개출석 처음

김 여사는 앞서 6월 21대 대선 전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과 서울고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팀의 출석 통보에는 각각 대선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 건강상 이유 등으로 모두 불응했다. 지난해 7월 20일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이 비공개 방문 조사를 실시해 ‘황제 조사’ 논란이 불거졌는데, 결국 381일 만에 특검 수사를 받게 된 것이다.

김 여사는 영부인 중에선 처음으로 수사기관에 공개적으로 출석해 조사받게 됐다. 2004년 대선 비자금 사건과 관련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던 전두환 전 대통령 배우자 이순자 여사와 2009년 박연차 게이트와 관련해 부산지검에서 조사를 받았던 노무현 전 대통령 배우자 권양숙 여사는 언론 보도를 통해 조사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2012년 ‘내곡동 사저부지 의혹 사건’ 특검으로부터 조사를 받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배우자 김윤옥 여사는 서면으로 조사를 받았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당시 김 여사의 계좌를 관리한 인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는 5일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은 이 전 대표에 대해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이 전 대표의 신병을 특검이 확보하면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뿐만 아니라 이 전 대표가 연루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에 대한 수사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