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인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한 행안위 위원들이 28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을 방문해 피해 상황 등을 살핀 뒤 발언하고 있다. 2025.9.28/뉴스1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복구 현장을 찾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서버 관리에 문제가 있었다는 점에서는 동의하면서도 그 책임은 전·현 정부에 화살을 돌렸다.
행안위 소속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의원들은 28일 국정자원을 찾아 화재 현장을 점검했다. 확인을 마친 여야 의원들은 각각 별도의 브리핑을 준비해 점검 결과를 설명했다. 의원들은 공통으로 서버와 배터리가 같은 공간에 배치되고 간격도 가까워 화재에 취약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신정훈 위원장(민주당)은 “이번 사태를 통해서 불편을 겪고 계시는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 신속한 복구를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며 “현장 점검을 통해 리튬 이온 배터리가 설치되고 해체되는 과정에서 매뉴얼들이나 관리 규정들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던 것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당 권칠승 의원은 2022년 판교데이터센터 화재를 언급하며 지난 정부의 부실한 관리를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권 의원은 “판교데이터센터 화재로 교훈을 얻어 배터리와 서버 이중화 조치와 재난 복구(DR) 시스템 구축을 의무화하도록 했다”며 “당시 정부는 민간에만 의무를 부여하고 공공기관은 제외해 오늘의 결과를 빚었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장에서는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청했지만, 행안부가 실질적으로 하지 못하도록 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소방청도 화재 위험물 시설 지정을 요구했는데 정부가 하지 않았다”며 “당시 정부가 이 문제를 심각하게 보지 않은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서버 관리 책임이 있는 각 부처에서도 관련 예산을 반영하지 않았다며 전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야당 간사인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이 28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을 방문해 피해 상황 등을 살핀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9.28/뉴스1
국민의힘 의원들은 현 정부에 책임을 물었다.
서범수 의원은 “대한민국이 자랑스러워했던 전자 정부가 왜 이 모양까지 됐는지 개탄스럽다. 위기 대응 능력의 부실로 인해 사고가 터졌다”며 “서버와 배터리 팩이 같은 공간에 위치해 있고, 이중화와 재해복구(DR)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은 점이 화재의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에 위기 대응 능력이 있느냐를 얘기할 수밖에 없다”며 “피해 현황이나 복구 일정, 서비스가 중단된 업무 등을 국민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아 국민의 불편은 나 몰라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당시 현장 관계자들이 배터리를 해체하는 데 드릴을 사용했다고 한다. 불꽃이 튀어 화재가 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는 게 맞는지 매뉴얼대로 한 것인지 의심된다”며 “화재 조사 과정에서 확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또 “전날 행안위 소속 우리 당 의원들은 현장 방문을 계획했다. 그런데 밤늦게 민주당에서 오겠다고 해 현장 수습에 불편을 끼치면 안 돼서 함께 방문하게 됐다”며 “별도로 브리핑하게 된 이유도 각자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