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사 격파부터 잠수함 격멸까지…영해수호 의지 확인한 2025 관함식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9월 30일 11시 56분


코멘트
부유 목표물을 향해 76mm와 40mm 함포사격을 가하는 한상국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부유 목표물을 향해 76mm와 40mm 함포사격을 가하는 한상국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적함 탐지! 경고사격 후 일제 사격 개시!”

굉음이 부산 앞바다를 흔들었다. 127mm와 76mm 함포가 동시에 불을 뿜으며 불빛이 수면을 가르자, 2km 밖 표적이 산산조각났다. 함포의 진동은 가슴을 때렸고, 불길은 눈앞의 바다를 붉게 갈랐다. 26일 해군 창설 80주년을 맞아 열린 관함식, 기자는 상륙기함 마라도함(LPH-6112) 위에서 그 현장을 직접 지켜봤다.

■ 시민과 함께 오른 ‘움직이는 요새’ 마라도함

이날 행사에는 국민참여단 360여 명과 초청 인사 2100여 명이 함께했다. 그들이 탄 마라도함은 길이 199m, 높이 31m, 승조원 330여 명과 상륙병력 700명을 태울 수 있는 해군 최대의 함정이다. 항공 엘리베이터를 타고 갑판에 오르자 강철로 둘러싸인 거대한 공간이 눈앞에 펼쳐졌다.

부산 해군작전사령부에 정박한 마라도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부산 해군작전사령부에 정박한 마라도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각종 장비들이 말끔하게 치워지고 시민들을 위한 시설이 마련된 마라도함 내부.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각종 장비들이 말끔하게 치워지고 시민들을 위한 시설이 마련된 마라도함 내부.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그 순간 기자는 ‘오늘은 관람객을 위한 무대지만, 본래는 전장을 향해 나아가는 요새’라는 사실을 새삼 실감했다. 평소 공기부양정(LCAC)나 상륙장갑차(KAAV) 등 상륙 장비가 가득하던 공간은 이날만큼은 시민들을 위한 관람 구역으로 바뀌었지만, 철의 본질은 여전히 전장을 향해 있었다.

정부, 군 관계자를 태울 예정인 좌승함(座承艦) 노적봉함이 먼저 해군작전사령부 부두를 빠져나가고 있다.
정부, 군 관계자를 태울 예정인 좌승함(座承艦) 노적봉함이 먼저 해군작전사령부 부두를 빠져나가고 있다.

갑판으로 올라가 행사와 함선 촬영을 위해 함교 외부에 자리를 잡자 군·정부부처 관계자 300명이 탄 좌승함(座承艦) 노적봉함이 먼저 항구를 빠져나가고 있었다.

■ 전속항진 시작…강철이 바다를 가르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탄 헬기가 착함하자마자 전속항진을 하는 노적봉함과 정조대왕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탄 헬기가 착함하자마자 전속항진을 하는 노적봉함과 정조대왕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좌승함 노적봉함에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도착하자 관함식은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다. 마라도함은 시속 40km로 속도를 끌어올렸다. 1만4500톤에 달하는 철제 거인이 바다를 가르자, 맞바람은 총탄처럼 얼굴을 때렸다. 옆에서 취재진의 모자가 바다로 날아갔고, 시민들은 난간을 꽉 붙잡은 채 환호성을 내질렀다.

정조대왕함을 선두로 세종대왕급, 왕건함, 울산급 부산함, 초계함 광명함이 차례로 도열했다. 회색 철의 선체들이 파도를 가르며 줄지어 나아가는 모습은 장엄했다. 특히 이날 처음 공개된 충남함은 국산 4면 위상배열레이더(AESA)를 장착한 신예 호위함으로, 북한의 대함미사일 위협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모았다.
부산 앞바다에서 좌승함과 시승함을 기다리고 있던 정조대왕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부산 앞바다에서 좌승함과 시승함을 기다리고 있던 정조대왕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 SLBM 잠수함 신채호함, 시민 탄성을 자아내다

현무-IV-4 잠수함발사탄도탄(SLBM)을 발사하면서 국내 기술로 개발, 건조된 3000톤급 잠수함 신채호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현무-IV-4 잠수함발사탄도탄(SLBM)을 발사하면서 국내 기술로 개발, 건조된 3000톤급 잠수함 신채호함.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바닷속에서 솟아오른 3000톤급 잠수함 신채호함은 이날 행사의 백미였다. 잠망경과 레이더를 전개하며 수면 위로 빠르게 항해하는 장면에 시민들의 탄성이 터졌다. 국산 잠수함이 SLBM을 탑재하고 수면 위를 달리는 모습은 ‘강철의 심장’을 보는 듯했다. 기자 역시 군사 마니아로서 심장이 뛰는것을 느꼈다.

해상사열식을 진행하는 우리 해군의 이지스함 세종대왕함(DDG-991).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해상사열식을 진행하는 우리 해군의 이지스함 세종대왕함(DDG-991).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국내 최초 4면 고정형 위상배열레이더(AESA)를 탑재한 충남함(FFG-BATCH-Ⅲ).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국내 최초 4면 고정형 위상배열레이더(AESA)를 탑재한 충남함(FFG-BATCH-Ⅲ).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고정형 AESA를 탑재한 충북함은 적 항공기와 미사일을 빠르게 탐지할 수 있어 북한의 대함미사일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고강도 대잠작전 보여준 우리해군

수중에서 잠수함을 탐지하는 소노부이를 투하하는 우리 해군의 P-8A 대잠초계기.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수중에서 잠수함을 탐지하는 소노부이를 투하하는 우리 해군의 P-8A 대잠초계기.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마지막은 대잠작전 시범이었다. 해군의 P-8A가 바닷속 잠수함을 탐지하는 ‘소노부이’를 투하하고 이를 통해 적 잠수함을 포착하면 MH-60R이 바닷속에 직접 소나를 내려 정확한 잠수함의 위치를 탐지한다. 이후 탐지된 적을 링스(LYNX) 해상작전 헬기가 경어뢰를 투하해 가상의 적 잠수함을 격침시키는데 성공했다.

갑판 위에서 터진 환호와 카메라 셔터 소리는 하늘과 바다의 장면을 한 폭의 그림처럼 남겼다.

수중탐색을 위해 디핑소나를 내리는 MH-60R 후방으로 적 잠수함 격침을 위해 어뢰를 투하하는 링스(LYNX) 해상작전헬기.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수중탐색을 위해 디핑소나를 내리는 MH-60R 후방으로 적 잠수함 격침을 위해 어뢰를 투하하는 링스(LYNX) 해상작전헬기.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대잠작전 훈련은 일정지역의 공역에 다수의 항공기가 투입되는 만큼 항공기 충돌 위험성이 높다. 이날 보여준 해군의 잠수함 격멸 훈련은 평소 우리해군이 고강도의 대잠작전을 진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기회였다. 박수와 탄성은 단순한 시범이 아니라 ‘실전의 무게’를 느낀 반응이었다.

#2025 대한민국 해군 관함식#LPH-61212 마라도함#DDG-991 세종대왕함#노적봉함#해군작전사령부#이지스 정조대왕함#3000톤급 잠수함 신채호함#AESA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