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의 윤석열 정권을 향한 조직적 청탁 의혹을 수사 중인 특별검사팀은 일방적으로 세 차례 소환에 불응한 한학자 총재의 자진 출석 입장과 관계 없이 “법과 원칙에 따르겠다”고 15일 밝혔다. 체포영장 청구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피의자(한 총재) 측 자진 출석 의사와 무관하게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 일정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전날 통일교 측은 오는 17일 혹은 18일 중 하루를 정해 주면 한 총재는 자진 출석할 것이라는 입장을 냈으나, 특검은 이미 충분한 시간을 줬다는 입장이다. 한 총재 측이 내민 출석 일자도 조율할 계획이 없다는 방침이다.
앞서 특검은 한 총재에게 지난 8일 사무실로 조사를 받으러 나오라고 통보했으나 불발됐다. 이어 지난 11일과 이날까지 총 세차례 소환을 통보했고 한 총재는 불응했다.
한 총재는 건강 문제로 조사에 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 총재는 지난 4일 서울아산병원에서 전극도자절제술 시술을 받았는데, 회복 경과가 좋지 않아 절대 안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통일교 측 입장이다. 통일교 측은 한 총재가 11일에는 병원으로부터 재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는 소견을 들었고 부정맥이 재발했다는 취지의 자료를 전날 냈다.
그러나 특검은 한 총재 측이 소환 전날에 일방적으로 불응 의사를 통보하고 있어 체포영장 청구와 같이 그를 강제로 조사실에 끌어 앉히는 방안도 열어 놓고 검토하고 있다.
통상 수사기관은 소환을 요구해도 합당한 이유 없이 3차례 불응한 피의자를 상대로 법원에 체포영장을 청구한다.
특검은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한 총재의 허락을 받고 ‘건진법사’ 전성배씨에게 고가 물품과 통일교 현안 관련 청탁을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통일교 측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1억원 수수 배경에도 한 총재가 관여했다고 의심하고 수사 중이다.
한 총재의 정교(정치-종교)일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윤 전 본부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게 이른바 ‘투 트랙’(건진법사-권성동)으로 접근했다는 게 특검 판단이다.
이에 특검은 윗선으로 지목된 한 총재 대면 조사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소환을 통보해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교 측은 이날 오후 재차 입장을 내 “한 총재는 83세의 고령으로 열흘 전 심장 관련 시술을 받고 4일전 부정맥이 재발한 상황”이라며 출석일자 조율을 거듭 요청했다.
통일교 측은 “(특검에) 이를 증빙하는 의료기록 등을 제출해 단 며칠만이라도 시술 후 회복할 시간을 요청하고 출석 거부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2~3일 내 특별검사가 지정해 주는 대로 출석해 성실히 조사받을 것을 말씀 드렸다”며 “한 총재는 반드시 출석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