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사진)는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당시 더불어민주당 등이 피해자를 가리켜 ‘피해 호소인’이라고 발언한 것이 적절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원 후보자는 3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피해자를 다른 용어로 호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피해자에 대해선 피해자로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논란이 불거졌을 당시 민주당 윤리심판원 위원이었는데 침묵했다는 지적에는 “윤리심판원은 규정에 따라 운영되는 조직”이라며 “해당 부분은 윤리심판원에 제소된 바 없다”고 했다. 이어 민주당 윤리규범에 명시된 ‘피해 호소인’ 단어를 삭제해야 한다는 주장엔 “규정에 대해 다시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검토가 더 필요하다”고 했다.
원 후보자는 박정훈 해병대 대령 긴급구제 기각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원 후보자는 2023년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을 맡았을 때 채 상병 사건을 수사했던 박 대령에 대한 긴급구제 신청에 기각 의견을 제시했다. 채 상병 사건 특별검사팀은 당시 군인권보호위원회 위원장이던 김용원 군인권보호관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비공식 통화를 한 뒤 긴급구제 신청을 기각한 것에 대해 입장 번복에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은 “후보자도 당시 만장일치 기각 결정에 동의해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지적했다.
원 후보자는 “긴급성 요건 결여로 인한 기각이었다. 군인권위원이 된 지 한 달째 만에 내린 결정이었고, 김 군인권보호관이 이 전 장관과 통화한 사실은 몇 달 뒤에 알았다”면서도 “박 대령과 유족들에게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