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대학의 1학기 수업이 종강한 가운데, 수업 불참으로 유급 대상이 된 의대생 중 실제 유급 처리가 된 학생은 약 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학교들이 유급 학사 행정 처리를 확정 짓지 않아서인데, 의정 대화 진전으로 관련 대책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40개 의대 1학기 의대 재적생 2만 3670명 중 유급 대상자는 1만 7명이다. 이중 유급이 확정된 학생은 853명으로 8.5%다.
전국 40개 의대 중 A 대학이 유급대상자 517명 중 357명, B 대학이 309명 중 309명, C 대학이 187명 중 187명을 유급 처리했고 나머지 37개교에서는 유급 확정 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통상 대학들은 1학기가 끝난 뒤 성적 산정위원회 등을 거쳐 의대생 유급 및 제적 처리를 확정하는데, 현재 3개 대학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대학이 아직 유급 행정 처리를 확정 짓지 않은 상황이다.
이재명 정부 출범과 김민석 신임 국무총리 취임으로 정부와 의료계 대화 상황에 진전 기미가 보이자, 대학들도 당장 유급 처리를 확정하지 않고 분위기를 살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급 통보를 마친 서울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성적 확정 이후 행정 처리가 돼야 하는데, 아직 처리는 되지 않았다”며 “날짜가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여전히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학사유연화가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다만 전날 김 총리가 취임 첫날부터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 전공의 대표인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의대생 대표인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대위원장 등과 만찬 회동을 진행하며 의정 갈등 해결에 대한 적극 행보에 나서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구제 대책이 마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