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 “스스로 떠난 전공의·의대생에 복귀 특권 안돼” 반발

  • 뉴스1
  • 입력 2025년 7월 8일 15시 01분


코멘트

“의정갈등과 의료공백 피해 당사자 환자 목소리 언제 듣나”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 /뉴스1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 /뉴스1
의정갈등 해소 등 신뢰 회복에 나선 새 정부와 의료계를 겨냥해 환자단체는 8일 “전공의와 의대생들에게 복귀를 위한 특혜를 줘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자신들이 의료공백의 최대 피해자임을 강조하면서 책임있는 당국자와의 면담도 요구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8일 이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전날 대한의사협회장, 전공의 대표(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의대생 대표(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나 의료 현안에 대한 해법을 모색했다.

이에 대해 연합회는 “국민주권 정부를 표방한 새 정부가 의료계를 만나 목소리를 청취하는 것은 환영할 일”이라면서 의료공백 사태의 최대 피해자인 환자 목소리를 듣지 않는 상황은 문제라고 꼬집었다.

연합회는 “이재명 정부는 공약에 따라 당연히 환자 중심으로 의정갈등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했다”면서 “그런데 총리와 의료계 대표 간 회동 핵심이 전공의·의대생 복귀 조건에 있고, 여기에는 수련·학사 관련 특혜성 조치도 포함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온다”고 전했다.

연합회는 또 “전공의·의대생은 1년 5개월 전 자신들은 자발적으로 사직·휴학했다는 이유로 정부는 개입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새 정부에서도 자발적으로 사직·휴학한 전공의·의대생의 복귀는 조건 없이 자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회는 “여타 전문직 종사자나 대학생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특혜성 조치를 하려는 이유를 알 수 없다”며 “정부의 특혜성 조치는 먼저 자발적으로 복귀한 전공의·의대생이 앞으로 겪을 피해를 고려하면 정부에 의한 2차 가해”라고 비판했다.

이어 “환자 없는 의료는 존재할 수 없다”며 “새 정부는 ‘환자 중심 의료개혁’을 반드시 실현하고, 환자에게도 1년 5개월 동안 겪은 환자 경험과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입법적 의견을 전달할 기회를 주기 바란다”고 부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