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당사 3차 압수수색 대치 김건희 특검 관계자들이 18일 국민의힘 당원 명부를 확보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 압수수색을 시도하던 중 국민의힘 관계자들과 대치하고 있다. 특검은 지난달 13일과 18일에도 전산 자료 제출 협조를 요청했지만 국민의힘이 반발하면서 무산됐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이 ‘통일교 집단 당원가입 의혹’과 관련해 국민의힘을 상대로 세 차례 압수수색을 시도한 끝에 통일교 신도로 추정되는 당원 11만 명의 명단을 확보했다.
특검은 통일교가 윤석열 전 대통령 최측근인 권성동 의원을 조직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신도 1만여 명을 국민의힘 당원으로 집단 가입시킨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특검은 이 명단을 정밀 분석해 ‘신규 집단 가입’ 1만여 명이 실제 포함돼 있는지 확인할 방침이다.
● 국힘 당원 ‘500만 명’ 중 통일교인 ‘11만 명’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통일교인의 국민의힘 당원 가입 여부 자료와 관련해 압수수색을 벌인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원 명부 데이터베이스 관리 업체 사무실로 국민의힘 의원들이 들어가고 있다. 뉴시스19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건희 특검은 전날 국민의힘 데이터베이스(DB) 관리 업체를 압수수색하고 통일교 신도로 보이는 당원 11만 명 명단을 확보했다. 특검은 통일교 압수수색 과정에서 확보한 120만 명 규모의 교인 명단을 들고 업체를 방문해 국민의힘 당원 약 500만 명의 명부와 대조했다. 프로그램을 이용해 이름, 생년월일 등 정보를 비교 및 대조한 뒤 일치하는 11만여 명을 추출했다.
김형근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영장에 기재된 특정 기간에 한정해서 통일교 교인의 국민의힘 당원 가입 여부를 기술적으로 대조해 정보를 추출했다”며 “당원 명부 전체를 열람하거나 가져온 건 아니다. 확보 자료는 현재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다. 특검이 영장에 적시한 특정 기간은 2022년 10월부터 2023년 3월, 지난해 1∼4월 사이로 전해졌다.
특검은 이 명단을 토대로 2023년 3월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통일교 측이 조직적으로 개입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권 의원을 지원하기 위해 통일교가 집단 가입을 추진했다가, 권 의원이 불출마하자 김기현 의원으로 지원 대상을 바꿨다는 정황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확보한 11만 명 중 실제로 투표권을 가진 책임당원이 몇 명인지 가려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당시 당 대표 선거인단에 포함된 책임당원은 약 78만 명이다. 통일교 추정 당원 11만 명은 전체의 약 14%에 달하는 셈이다.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특검은 개별 당원 가입 시기와 납부 당비 내역, 지역별 분포까지 면밀히 확인하고 있다.
● 신규 집단 입당만 1만 명… 조직적 동원 정황 속속 확보
특검은 11만여 명 중 약 1만 명이 2021년 11월 전후 신규로 집단 입당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당시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건진법사’ 전성배 씨(구속 기소)에게 “전당대회에 어느 정도 필요한가요”라고 문자메시지를 보냈고, 전 씨는 “3개월 이상 당비 납부한 권리당원 1만 명 이상을 동원하라”는 취지로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나머지 기존 당원들이 전당대회에 개입했는지도 살펴보고 있다. 기존 당원에 더해 신규 당원 1만 명이 특정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다면 선거 지형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게 특검의 시각이다.
특검은 최근 통일교 지구장·교구장들을 불러 조사하며 이 같은 정황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교가 전국 5개 지구를 통해 각 교회 예배 시간 이후 신도들에게 국민의힘 당원 가입서를 나눠주고, 가입 현황을 할당량으로 정리해 윗선에 보고하는 방식으로 조직적 가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통일교 관계자는 “일요일에 예배 마치고 집에 가려는데 교회 집사가 다가와 ‘이거 하나만 써주세요’ 하고 국민의힘 당원 가입 원서를 내밀었다”며 “다른 통일교인들도 똑같은 방식으로 가입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김건희 특검이 전날(18일) 당원명부를 압수수색한 것과 관련해 “직권 남용 혐의로 특검을 고발하겠다”고 19일 밝혔다. 당 일각에선 지도부가 사실관계 확인과 설명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친한(친한동훈)계인 김종혁 전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만일 (책임당원) 40만 명이 투표했는데 그중 25%인 10만 명 정도가 특정 후보를 위해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면 결과는 보나 마나”라며 “누군가를 당 대표나 대선 후보로 만드는 게 결코 불가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