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증원 동결에도 65% 안 돌아와
‘제적 통보’ 5개 의대생 대부분 복귀
각 대학이 7일까지 교육부에 유급 또는 제적자 명단을 최종 제출한 가운데 이날까지 의대생 대다수가 복귀하지 않으면서 1만여 명의 집단 유급이 현실화됐다.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동결했지만 대규모 유급을 막지 못했다.
전국 40개 의대는 7일까지 교육부에 유급 또는 제적자 명단, 내년 1학년 예상 규모, 내년도 수업 방안 등을 제출해야 한다. 교육부는 각 대학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취합해 그 결과를 9일 공개한다.
이날 데드라인 전까지 많은 대학이 복귀 의사를 밝히거나 온라인 강의 자료를 내려받기만 해도 유급시키지 않겠다며 의대생 설득에 총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의대생 대부분은 복귀하지 않았다. 교육계에 따르면 미복귀율은 65%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의 한 사립대 의대는 전체 학생 복귀율이 20%에도 미치지 못했다.
대규모 유급이 예정대로 진행되면 내년도 예과 1학년은 3개 학년(24·25·26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이 현실화된다. 각 의대가 내년에 8개 학년 동시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뜻이다. 동아대와 전북대는 26학번에게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학칙 개정을 완료했다. 일부 대학은 올해 계절학기 과목 추가 개설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다만 대규모 제적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무단 결석 한 달 이상이면 제적’이라는 학칙에 따라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건양대 순천향대 을지대 인제대 차의과대 등 5개 대학 의대생 1916명은 약 40명을 제외하고 모두 복귀해 수업을 듣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수업 거부로 학사 경고를 한 차례 받아 학사 경고를 한 번 더 받으면 바로 제적되는 충남대 의대 24학번 학생도 전원 복귀해 수업을 듣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교육부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의대 학사 운영과 관련해 입장을 바꾸는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면서 의대생 수업 거부 행태를 더욱 강화시켰다는 비판을 한다. 지난해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대생이 휴학계를 내자 교육부는 동맹 휴학을 승인하지 말라고 대학을 압박했다. 하지만 의대생이 계속 수업을 거부하자 학칙을 개정해 F 학점을 받아도 유급되지 않게 했다. 의대생들이 휴학 승인을 요구하며 복귀하지 않자 지난해 10월에는 2025학년도 복귀를 약속하면 휴학을 승인해 주겠다는 ‘조건부 휴학 승인’ 방침을 밝혔다가 반발이 이어지자 의대생 휴학계 승인 여부를 대학 자율에 맡기겠다고 입장을 변경했다.
여근호 기자 yeoroot@donga.com
김민지 기자 minji@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