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속 맨홀 작업 ‘유해가스 주의보’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인천 사고 이틀만에 해남서도 발생
고온속 유해가스 빠르게 많이 생겨
밀폐공간 질식사 32% 여름철 사고
“마스크 착용 등 안전수칙 지켜야”

8일 오후 3시 51분경 전남 해남군 해남읍 한 노인시설 앞 도로 맨홀에서 가스중독 사고가 발생하기 직전 모습. 해남군 제공
인천에서 맨홀 작업 중 근로자 1명이 사망한 사고가 발생한 지 이틀 만에 전남 해남군에서도 맨홀 작업 근로자가 가스 중독 증세로 병원에 이송됐다. 전문가들은 여름철 폭염 기간에 유사한 사고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며 맨홀 작업 시 철저한 안전 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폭염이 유해가스 발생 촉진

9일 전남 해남소방서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3시 51분경 해남군 해남읍의 한 노인시설 인근 도로에서 맨홀에 들어가 작업을 하던 정모 씨(64)가 어지럼증을 호소했다. 그는 119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았다. 사고 현장은 안동하수로 신설 공사장으로, 당시 맨홀에선 하수도 관로의 빈틈을 메우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정 씨는 “맨홀 아래 5m 지하로 내려가던 중 어지럼증을 느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직후 맨홀 입구 일산화탄소를 측정한 결과 100ppm 수준으로 나타났다. 어지럼증,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농도다. 장시간 노출 시 생명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 정 씨의 혈중 일산화탄소 포화도(SPCO) 역시 34%로, 일산화탄소 중독이 의심되는 수준이었다.

6일에는 인천 계양구 병방동 도로의 맨홀 작업 중 근로자 1명이 숨지고 1명이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되는 사고가 있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당시 숨진 근로자 김모 씨(52)의 사인에 대해 “가스 중독이 원인으로 추정된다”는 소견서를 냈다.

전문가들은 폭염이 심해질수록 맨홀 내 가스 중독 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고온으로 인해 맨홀 등 밀폐된 공간 내 공기 흐름이 정체되고, 하수 속 유기물이 빠르게 분해된다. 이에 따라 일산화탄소나 황화수소 같은 유해가스가 더 빠르게,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8일 경남 통영시에서도 정박 중이던 연안선망 어선의 어창 내부에서 선원 4명이 질식해 병원에 이송됐다. 어패류 등이 더운 날씨에 빠르게 부패하면서 황화수소 농도가 급등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

● 밀폐공간 질식 사망 32% 여름철 발생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5∼2024년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밀폐공간 질식 사고로 126명이 숨졌다. 특히 사망자 126명 가운데 40명(31.7%)은 6∼8월에 목숨을 잃었다. 그만큼 여름철 사고가 많고 위험하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여름철 맨홀 작업을 할 경우 반드시 밀폐공간 재해예방 안전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많은 사고가 기본 수칙을 지키지 않는 데서 비롯되는 인재”라며 “2인 1조 작업, 공기순환기 작동, 맨홀 내부 가스 측정, 마스크 비치 등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 계양구에서 사망한 김 씨도 가슴 장화만 착용하고 산소마스크 등 주요 보호장비 없이 작업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많은 경우 동료를 구하려는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커진다며 사고 발생 시 즉시 환기를 시키고 보호장비를 갖춘 뒤 구조에 나서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7일 인천 맨홀 사고 등을 언급하며 “일터에서의 죽음을 멈출 특단의 조치를 마련하라”고 밝혔다. 이어 “현장 안전 관리에 미흡한 점이 있었는지 철저히 밝히고, 중대재해처벌법 등 관련 법령 위반 여부도 철저히 조사해 책임자를 엄정 처벌하라”고 강조했다. 고용노동부는 9일 노동안전 종합대책 수립에 착수했다.

#폭염#맨홀#유해가스#폭염 맨홀#밀폐공간 질식 사고#가스중독 사고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