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아파트 ‘폭염 정전’ 비상… 변압기 교체 예산은 반토막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12일 01시 40분


코멘트

남양주 노후 변압기 탓 정전-화재… 군포-대구서도 정전사고 잇달아
전력수요 연일 최고치 감당 못해… 정부 교체 권고, 예산은 33억→17억
“점검 강화-지원 확대, 사고 막아야”

낡은 전기 시설 문제로 화재가 난 경기 남양주 화도읍 경성큰마을아파트 1단지 지하 주차장. 교체공사를 마친 폐 케이블이 그을린 바닥 위에 놓여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갑자기 전기도 안 되고, 물도 안 나와서 이 무더위에 대피소에서 지냈어요. 오늘 새벽에야 복구됐다고 하는데, 아직도 인터넷이나 TV가 안 나오는 집이 있대요.”

11일 경기 남양주시 한 아파트에서 만난 주민 이녹순 씨(85)가 말했다. 이 씨는 9일 오후 아파트 일부 가구에 갑작스러운 정전이 발생해 다른 주민 40명과 함께 인근 임시대피소에서 사흘을 지내야 했다. 이날 기자가 찾은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는 화재 당시 그을린 전선 뭉치가 여전히 수북이 쌓여 있었다.

연일 계속되는 폭염 속에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기 시설이 오래된 대규모 공동주택에서 정전이나 화재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노후 변압기 교체를 권고하고 있지만, 관련 예산은 오히려 줄어 여름철 폭염 현실과 정책 간 괴리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 노후주택 정전 발생률 7.4배

폭염 특보와 열대야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서 전기 과부하로 인한 정전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8일에는 경기 군포시의 1000채 규모 아파트에서 7시간가량 정전이 발생했다. 2일엔 대구 동구의 한 아파트에서 전기설비 이상으로 추정되는 정전이 발생해 주민들이 15시간 넘게 불편을 겪었다.

여름철 이 같은 정전 사고의 가장 흔한 원인은 변압기 고장이다. 앞선 사례들 역시, 노후 변압기가 급증한 전력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사고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제는 노후 주택이 늘면서 노후 변압기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각각 25년을 넘긴 아파트는 약 36만 채, 31만여 채에 달했다. 2년 새 새롭게 ‘노후 아파트’로 분류되는 물량만 70만 채에 가까운 셈이다.

노후 아파트는 변압기 등 전기설비 역시 오래돼 사고 위험이 크다. 한국전력연구원(KEPRI) 분석 결과 입주한 지 25년 이상 된 아파트의 정전 발생률은 15년 미만 아파트보다 7.4배 높았다. 앞서 정전 사고가 발생한 경기 군포, 대구의 아파트도 모두 준공 후 25년 이상이 지난 노후 단지였다. 이런 가운데 7월부터 이어진 폭염으로 전국 전력 수요는 연일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8일 오후 5시 10분 기준 전국 전력 수요는 95.994MW(메가와트)로, 역대 최대치에 근접했다.

● 변압기 교체 예산은 절반으로 ‘뚝’

정전 사고는 남양주 사례처럼 자칫 화재로 이어져 인명 피해로 번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노후 아파트의 변압기를 제때 교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공동주택관리법 시행규칙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변압기를 입주 25년 차에 전면 교체할 것을 권고하고 있고, 정부가 일부 비용을 지원한다.

그러나 취재 결과 아파트 노후 변압기 교체 지원 사업 예산은 지난해 33억3600만 원에서 올해 17억 원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전 위험은 커지는데 대책은 오히려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오래된 아파트의 변압기는 열화나 오염이 진행돼 사고 위험이 크다”며 “여름철을 앞두고 변압기 상태를 사전에 점검하고, 필요시 교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폭염 기간에는 에어컨 사용이 집중되는 시간대에 전력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낮 시간에는 에어컨 온도를 조금 높이거나 외출 시 전원을 차단하는 등 전력 사용을 조절하는 생활 습관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노후 아파트#폭염 정전#변압기 교체 예산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