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월만에 휴학 의대생들 복귀…“국회·정부 믿어”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12일 20시 14분


코멘트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12일 학교 복귀를 선언했다. 집단 휴학한 이들이 전원 복귀 의사를 밝힌 건 지난해 2월 이후 약 1년 5개월 만이다. 다만 구체적인 복귀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국회 교육위원회·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의협)와 함께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을 발표하고 이같이 전했다. 의대협은 이 자리에서 “이제 반드시 이 사태를 마무리 지어야 한다. 지금 의대 교육이 멈춘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과대학 교육 및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해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 발표를 한 뒤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 비상대책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 발표를 한 뒤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앞서 정부는 지난 5월 7일까지 복귀하지 않는 의대생은 학칙대로 유급 또는 제적 처리하며 철회는 없다고 경고했지만 의대생 대부분은 복귀하지 않았다. 학기 수업 대부분이 임상 실습인 본과 3·4학년 일부만 돌아가는 데 그쳤다. 이에 교육부가 각 대학이 제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표한 ‘의대생 유급 및 제적 대상자 현황’에 따르면 재학생 1만9475명 중 8305명이 유급 대상자 명단에 올랐다. 의대가 조만간 유급 처리를 확정하기 전에 전원 복귀를 선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의협은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적극 지원하며 의료의 정상화를 위해 정부와 책임있는 논의를 지속하겠다”고 했다. 또 국회는 “의대생들의 교육 정상화 방안이 조속히 마련될 수 있도록 정부와 함께 노력하겠다”며 “복귀한 의대생들이 불이익이나 불안을 겪지 않고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충분한 보호 조치를 함께 마련하겠다”고도 밝혔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왼쪽부터),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 비상대책위원장,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기 위해 브리핑룸으로 입장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추진 등 의료 개혁 정책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국회는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뉴스1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왼쪽부터),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 비상대책위원장,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기 위해 브리핑룸으로 입장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추진 등 의료 개혁 정책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국회는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뉴스1
의대협 등은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에 의대생 복귀와 관련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건의했다. 이들은 “학사일정 정상화를 통해 의대생들이 교육에 복귀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전 정부의 무리한 정책으로 인해 초래된 의료 현장의 피해 복구와 중장기적인 교육 및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당사자들의 참여를 보장해 달라”고도 했다.

전공의 수련 재개도 더이상 늦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국회와 의료계는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실무 논의 단위를 신속히 구성해 구체적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