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 전문기관 초록우산은 최근 돌봄 공백 화재로 인한 연이은 아동 사망에 대해 성명을 내며 실질적인 대안 마련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구조적 원인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초록우산은 13일 성명을 통해 “연이어 발생한 사고를 단순한 불의의 사고나 가정 내부의 문제로만 다뤄져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 직후 정부가 엄중한 인식을 보여주며, 범정부 차원의 대책 수립에 나선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비극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적극적 논의와 조치가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명서에서 초록우산은 ▲돌봄서비스의 접근성 제고 ▲돌봄 공백 반복 발생의 구조적 원인 해소를 언급했다.
초록우산은 “돌봄이 필요한 순간, 아이들이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서는 안 된다”며 “어느 지역에서 살건, 심야나 주말이건 기다림 없이 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 인력, 체계를 국가 주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취약계층 가정은 화재 등 안전에 취약한 최저 주거 기준 이하의 환경에서 살아가는 경우가 많고, 보호자의 생계 활동으로 인해 수시로 돌봄 공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며 “맞춤형 돌봄 지원과 함께 주거, 돌봄, 생계 전반을 아우르는 다층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