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하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14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2025.07.14. [서울=뉴시스]
정부가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의대 총장 및 학장들과 협의해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이 철회되며 각 의대에서는 의대생 복귀 일정이 늦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21일 정례 브리핑에서 “의대 총장들과 학장단이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고 구체적인 안과 일정은 회의 이후 정해질 것 같다”며 “이달 중으로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 마련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17일 전국 의대 운영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회의를 열고 학교를 떠나 유급 대상이 된 의대생들에 대해 유급 처분은 하되, 2학기 수업에 복귀시키기로 했다. 복귀 후에는 1년간 이수해야 할 학사과정을 2학기 주말 및 야간 수업 등을 이용해 수업 결손 없이 압축적으로 수강해야 한다.
의대 학장들이 모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1일 오후 회의를 열고 대학마다 다른 복귀생 규모, 학칙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의대 본과 3학년 학생들의 졸업 일정에 대해 의대 간 이견이 있어 이부분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한 사립대 의대 학장은 “본과 3학년의 경우 내후년 2월에 졸업 가능한지, 아니면 한 학기를 더 다녀야 하는지에 대해서 학교마다 사정이 다르다”며 “주말 및 야간 시간, 방학을 활용해서 실습을 압축적으로 할 수 있는지를 따져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의총협도 KAMC 회의 결과를 보고 이르면 23일 의대 학사 정상화를 위한 요구사항을 정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새로운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명되고 인사청문회를 거치기까지 기다리면 2학기 개강일이 지날 수 있어 대학들 중에는 국무총리 중심으로 이제 결단을 내려야 할 시기가 왔다는 의견을 내놓는 곳도 있다. 양오봉 의총협 회장은 “국무총리실을 중심으로 협의하고 결정해 하루라도 빨리 수업을 시작해 의대 교육을 정상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상적인 교육 준비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학교 현장의 의견도 적지 않다. 수도권의 한 의대 학장은 “일부 학교에서는 필수의료 분야 교수가 대부분 사직해 학생을 가르칠 교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 학장은 “교수는 환자도 진료하고 학생도 가르쳐야 하는데 교수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중환자가 생기면 학생 교육은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밖에 없다”며 “수업 파행이 우려된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