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으로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복귀 논의에 앞서 수련 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 등 대정부 3대 요구안을 확정한 가운데 21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2025.07.21. 뉴시스.
정부가 수련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인턴, 레지던트)들이 내놓은 새 복귀 조건에 대해 의사들이 직접 참여하는 협의체를 가동해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전공의 간의 대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21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가 임시대의원총회에서 의결한 대정부 요구안과 관련해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의료체계 정상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협의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복지부는 또 “대한전공의협의회, 수련병원 협의회, 대한의학회, 수련환경평가위원회가 참여하는 수련협의체를 가동해 수련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등을 논의하겠다”라고 했다.
복지부는 “현재 신설을 검토 중인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칭)에서 필수 의료 패키지와 의료사고 법적 부담 완화 등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며 “국회 입법과정에서 의료계 의견 수렴을 포함한 사회적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전공의들은 지난해 윤석열 정부의 의대 2000명 증원 방침에 반발해 수련병원을 사직한 후 ‘단일대오’를 유지하며 정부와의 대화를 거부해 왔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고 대전협 집행부가 교체되면서 복귀 논의가 재개됐다.
대전협 비대위는 앞서 19일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윤석열 정부의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 등 3가지 요구안을 확정했다.
박경민 기자 mea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