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특검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는 우원식 국회의장.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특별검사 조은석)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7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검은 앞서 경찰이 조사한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 등에 대한 수사자료를 넘겨받아 검토하는 등 이른바 국민의힘 의원들을 상대로 한 ‘국회 표결 방해’ 의혹 수사도 본격화하고 있다.
우 의장은 지난해 12월 3일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의결을 주도했다. 특검은 7일 조사에서 우 의장에게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이 조직적으로 국회 해제 의결을 방해한 게 아닌지 등 당시 상황을 물었다고 한다. 우 의장은 이날 특검에 나오면서 “지난 비상계엄으로 일어난 내란 사태에 대해 국민에게 진상을 밝히는 것은 역사적으로 꼭 필요한 책임”이라며 특검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지영 특검보도 이날 브리핑에서 “진상 규명을 위한 국회 구성원들의 참고인 조사 협조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향후 국회의원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를 예고했다.
특검은 지난달 30일 더불어민주당 김상욱 의원을 조사했고, 11일엔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로 출마한 조경태 의원을 조사한다. 앞서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에게도 출석을 요청했지만 안 의원의 반발로 무산됐다. 이들은 모두 참고인 신분이다.
향후 특검은 계엄 해제 투표를 방해한 것으로 의심되는 국민의힘 의원들에 대한 조사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에 대한 경찰의 피의자 신문 조서를 넘겨받아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추 전 원내대표는 5차례에 걸쳐 의원 총회 소집 공지를 번복했다. 이 과정에서 본회의장에 진입하지 못한 의원이 많아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18명만 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에 참석했다.
또, 특검은 경찰로부터 나 의원의 경찰 신문 조서 등 기존 자료를 받아 수사에 착수했다. 특검 출범 전 경찰은 나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비상계엄 직후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한 경위 등에 대해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은 계엄 당일 오후 11시 26분 나 의원에게 전화를 걸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나 의원은 당시 통화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미리 알려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했다”고 밝혔다. 특검은 당시 통화에서 계엄 해제 의결과 관련된 윤 전 대통령의 지시는 없었는지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특검은 이날 비상계엄 직전 열렸던 국무회의 참석자인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규홍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당시 대통령실에 머문 것으로 알려진 신원식 전 국가안보실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검은 이들을 상대로 당시 상황과 계엄 선포 경위 등을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0